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해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1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25P 미리보기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해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9권 / 3호 / 187 ~ 211페이지
    · 저자명 : 김봉수

    초록

    형사소송법 제313조는 수사나 재판과 무관하게(제311조 및 제312조의 규정을 제외하고) 사인(피고인 또는 피고인 아닌 자)이 자신의 체험을 직접 기록(이하, ‘진술서’)하거나, 타인의 진술을 듣고 기록(이하, ‘진술기재서류’)한 전문증거를 규율대상으로 하여, 그 증거능력의 예외적 인정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법문의 난해한 구조와 표현들로 인해 ‘본문과 단서의 적용대상과 범위’, ‘진정성립의 인정주체’, ‘특신상태의 의미’ 등과 관련하여 해석상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2016년 법개정 이후에도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는 시정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제313조를 둘러싼 해석상 혼란의 진원지는 ‘피고인진술서’에 있다. 즉 ‘피고인진술서’를 전문증거로 바라보고, 이를 전문증거의 예외라는 틀 속에서 어떻게든 증거능력을 부여하고자 하는데서 무리한 해석론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1항 단서의 명시적 적용대상인 ‘피고인진술기재서류’에 해석상 ‘피고인진술서’를 포함시킨다던지, 제2항의 신설을 통해서 진술서의 성립진정이 부정되었을 경우에 ‘디지털포렌식 등 객관적 방법’을 통해 대체증명을 허용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악몽’에서 벗어나기 위한 최선책이 ‘잠에서 깨어나는 것’이듯, 피고인진술서를 둘러싼 ‘해석상 혼란’에서 벗어날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해석의 틀 또는 무심코 받아들인 전제들’을 깨고 나와야 한다. 즉 [피고인진술서=전문증거]라는 틀(대전제)부터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생각건대, 피고인진술서는 원본성의 증명을 통해 일반적인 ‘진정성’만 입증되어도 직접심리주의나 전문법칙의 관점에서 증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직접심리주의의 ‘직접성/간접성’의 기준에 비추어 일단 ‘전문증거’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서 원칙상 ‘잠정적으로’ 증거능력을 부정할 수 있을 뿐, 결국에는 모든 증거에 요구되는 기초적인 진정성(원본성)의 입증만으로도 증거로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직접심리주의에 중점을 두어 ‘간접성’기준에 따라 피고인진술서를 굳이 ‘전문증거’로 규정짓고, [원칙적 금지-예외허용] 구조 속에서 그 증거능력을 논하고자 한다면, 현재처럼 제313조에 의할 것이 아니라 원본성이 입증될 것을 전제로 제315조의 제3호 ‘기타 특히 신용할 만한 정황에 의하여 작성된 문서’로 보거나, 아니면 제4호를 신설하여 피고인진술서를 별도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rticle 313 applies to the following four hearsay evidences. (1)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criminal defendant, (2)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ny other person, (3) the document containing the statement of the criminal defendant, (4) the document containing the statement of any other person.
    However,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and criticism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1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particular, there is no unified interpretation of the admissibility requirements of the four hearsay evidences above. And there is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criminal defendant’ at the center of this confusion.
    The ‘hearsay evidence’ is statement evidence of the contents of ‘others' statements’ and the hearsay rule is made because of the distrust of those who convey the statements of oth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criminal defendant’, the person who made the statement and the person who delivered it is ‘the criminal defendant’ himself. Therefore, the risk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statement is very low. That is why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criminal defendant’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from other hearsay evidences (2), (3), (4).
    Therefore, the way to discipline ‘the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criminal defendant’ through Article 313 is not desirable.It is desirable to legislate either as a separate clause within Article 313 or as an independent article just like in Article 31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