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재 송병선의 생애와 순국 (Life of Yeonjae Song Byeong-seon(淵齋 宋秉璿) and His Sacrifice for Count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11
30P 미리보기
연재 송병선의 생애와 순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7호 / 243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연재 송병선의 생애와 위정척사운동, 순국 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 가비(家婢) 공임의 순사(殉死)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송병선은 우암 송시열의 9대손이자 노론종가의 장남으로 태어나 선대(先代)의 명성에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려고 노력하고, 또 송시열 현양 사업에 매진하였다. 그는 산수 유람과 강회(講會)를 통해 각처에 수많은 문인, 제자를 양성하며 유학을 진흥시키고자 하였다. 1880년에 성균관 좨주(祭酒)가 되어 최고 산림의 지위에 오르자, ‘신사봉사(辛巳封事)’를 올리는 등 정부의 개혁에 희망을 품었지만 정부에서 전혀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자 자정(自靖: 스스로 몸을 깨끗이 가지는 일)을 고수하고 침묵하였다. 그러나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그는 마지막 상소를 올리고, 고종을 대면하여 을사늑약의 폐지와 을사5적의 처단을 주장하다 고종이 거부하자 순국하였다.
    을사늑약 체결에 항거하며 순국한 사람은 여럿 있었지만 유학자로서 순국한 사람은 송병선 한 사람뿐으로, 군산 술산리에 그의 묘소가 있다. 이에 송병선을 기억하는 많은 군산 사람들은 그의 묘소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리에 정성을 기울였다고 한다. 그러나 점차 송병선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적어지면서 묘소 관리는 부실하게 되었다. 또 군산시에서는 근래 ‘군산 근대문화도시 사업’이라는 이름하에 식민지 미화 사업에 열을 올리면서도 연재를 비롯한 민족운동 관련 유적과 유물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았다. 이에 묘소는 황폐화되고 넓은 묘역에는 밭들이 들어차게 되었다. 군산시에서는 이제라도 일제 식민지 유적을 미화하는 사업을 중단하고, 민족 독립 운동과 관련된 유물, 유적을 정비, 복원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한 후손들의 최소한의 보답인 것이다.

    영어초록

    Under this thesis, the life of Yeonjae Song Byeong-seon, his Wijeongcheoksa Movement (衛正斥邪運動) and process of his sacrifice for the country are studied as well as his servant Gong Im(恭任)'s suicide committed for one's country. Yeonjae was born as the first son of the head family of Noron(老論) and the 9th descendent of Wuam Song Si-yeol(尤庵 宋時烈). He made concerted effort to live the life as appropriate to the reputation of his earlier generations and fully dedicated to the works to publicity of Song Si-yeol's accomplishments and teachings. Through the tour around the country and accompanied lecture sessions, he educated numerous scholars and pupils all throughout the country in a way of promoting Confucianism. In 1880, he was appointed as the Sunggyungwan(成均館) Jaeju(祭酒) to take the highest position of the sanrim (山林). He displayed his hope for reform of government by submitting ‘Sinsabongsa(辛巳封事)’ but the government did not accept his opinion at all. Therefore, he kept his position of self-purification and his silence. However, with the Eulsa Neukyak (乙巳勒約) in 1905, he submitted his last Sangso (上疏) to meet with King Gojong for the purpose of asserting the repealing of Eulsa Neukyak and impose the death penalty on to Eulsa 5-jeok (乙巳五賊), but when King Gojong refused to meet his, he sacrificed his life for his causes.. There were a number of persons who devoted their lives for the country in protesting of entering into the Eulsa Neukyak but Yeonjae Song Byeong-seon was the only person who devoted his life as a Confucian scholar and his tomb is in Sulsan-ri(戌山里), Gunsan(群山) today. Therefore, many people in Gunsan that remembered Yeonjae had special interests on his tomb and paid special attention to maintain the tomb. However, with the people who remembered Yeonjae in time diminished, the tomb management encountered difficulties. In addition, Gunsan-si(群山市) has expressed recently its passion for a beautification project for the colonization period under the name of ‘Gunsan Modern Cultural City Project’, but it did not have any interest in Yeonjae and other national movement related relics and heritages. Therefore, the tomb was deteriorated and the broad tomb-site had full of paddy fields. For Gunsan-si, it is considered as prudent to stop the project that beautifies the remains of Japanese imperial colonization and start paying attention to maintain and restore the relics and heritages related to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now. This is the least requital by the descendents for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country and its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