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정(否定)의 시대 속에서 사회구원을 위한 긍정 신학 모색: 이영훈 목사의 절대긍정(絶對肯定) 사상을 중심으로 (Seeking Positive Theology for Social Salvation in the Era of Denial: Focusing on Rev. Younghoon Lee’s Absolute Positive No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6
32P 미리보기
부정(否定)의 시대 속에서 사회구원을 위한 긍정 신학 모색: 이영훈 목사의 절대긍정(絶對肯定) 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68권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안수정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적 사회구원을 위한 긍정(肯定)의 신학을 논의하고자 두 가지 측면에서의 부정성(否定性)에 주목하여 현시대를 부정(否定)의 시대로 규정한다. 첫 번째, 사회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절대이념을 거부하는 탈이념의 사상을 추구한 나머지 사회 전반에 부정의 사상이 주입되어 왔다. 두 번째, 한편 기독교에서는 해방 후 90년대까지의 신학적 주제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십자가 사건과 종말에 관한 다소 어둡고 무거운 주제에 집중되어 오다가, 그 이후에는 사회 전반에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응하기 위한 신학적 고찰로 이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영훈 목사가 주장하는 ‘절대긍정’(絶對肯定)의 사상을 통해 이 두 가지 부정적 배경을 극복한 사회구원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기독교의 ‘사회구원’에 대한 관심은 성경에서 말하는 온전한 ‘하나님 나라’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데 있다. 이 문제는 하나님이 성취하시고자 하는 구원이 인간만을 위한 개인적 차원의 협소한 구원이 아니라, 더 광의적인 피조 세계 전체를 향한 전 우주적인 구원이라는 신학적 인식의 변화가 확대되면서 더욱 논쟁이 되고 있다. 이에 성경을 근거로 현시대의 기독교가 추구하고 정립해 나가야 할 하나님이 뜻하시는 성경적 원리의 사회구원에 관한 신학적, 목회적 제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영훈 목사가 제시하는 절대긍정의 신학 사상과 목회가 현시대와 미래의 사회구원을 향해 발전해 가는 실재(實在)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절대긍정 사상의 영적인 원리는 철저히 성경에 근거한 긍정(肯定)의 신학에 있음이 도출된다. 결과적으로 이영훈 목사는 부정의 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절대긍정 사상을 통해 개인적 성화뿐만 아니라 사회구원을 향한 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그의 실천신학적 차원에서의 목회적 적용을 통해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부정의 시대 속에서 현 기독교의 사회구원을 향한 폭넓은 신학적 발전과 목회적 도전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discuss the positive theology for social salvation in Christianity, this study regards the contemporary period as an era of denial, concentrating on negativity from two aspects. First, as for the social aspect, influences of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ism have brought about injecting the idea of denial into society as a result of the pursuit of post-ideological ideas for denying absolute ideologies. Second, within Christianity, the theological themes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to the 1990s focused predominantly on rather heavy and serious subjects such as the Crucifixion event and Eschatology on account of the Fall. Subsequently, it has led to theological reflections to counter the negative perception against Christianity in society as a whole. Thu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values of social salvation that overcomes these two negative backgrounds through the notion of “Absolute Positivity” advocated by Rev. Younghoon Lee.
    In recent years, Christianity’s interest in social salvation has been aimed at building wholly the ‘Kingdom of God’ mentioned in the Bible. The issue has become more controversial as a result of a growing theological awareness that the salvation God seeks to achieve is not a narrowly personal salvation for humans only, but a broader, cosmic salvation for the entire cre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ological and pastoral proposals based on the Bible for the social salvation that contemporary Christianity should pursue and establish according to God’s wil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thought and ministry of absolute positivity presented by Rev. Younghoon Lee as it develops toward social salvation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rough this, it can be derived that the spiritual principles of absolute positivity notion are thoroughly grounded in the theology of positivity based on the Bible. As a result, Rev. Younghoon Lee provides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not only personal sanctification but also social salvation through the absolute positive notion, which is urgently needed in the era of denial and through pastoral application at the level of practical theology, he presents a vision of God’s Kingdom that will be sustainable in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anticipates a wide range of theological developments and pastoral challenges toward social salvation in contemporary Christianity in the era of den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