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속에 재현된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의 정체성:중앙아시아 출신 감독들의 시선을 중심으로 (Central Asian Migrant Workers’ Identity in the Movies: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Central Asian directo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2
27P 미리보기
영화 속에 재현된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의 정체성:중앙아시아 출신 감독들의 시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중소연구 / 43권 / 4호 / 237 ~ 263페이지
    · 저자명 : 윤서현

    초록

    체제 선전 영화가 전부였던 중앙아시아에 영화예술의 맹아가 움트기 시작한 것은 2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였다. 참화를 피해야 했던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現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영화스튜디오들이 알마티를 비롯한 타슈켄트, 스탈리나바드(現 두샨베) 등의 중앙아시아 도시들을 피난처로 삼았던 것이다. 이를 계기로 지가 베르토프, 미하일 롬,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등 당대 최고 수준의 러시아 감독들의 작업을 접하게 된 중앙아시아 젊은이들의 열의는 자연스레 모스크바 영화유학 붐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소연방 국가영화위원회(Госкино СССР)가 제작비 지원에 관한 전권을 쥐고 촬영 및 배급 전반을 통제하던 상황 속에서 민족적 색채가 농후한 이들의 작품은 줄곧 주요 검열의 대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중앙으로부터의 모든 재정지원이 중단된 1991년 소비에트의 붕괴는 중앙아시아 영화계를 존폐의 위기로 몰아넣는 사건이자 동시에 그동안 억압되어 온 중앙아시아 영화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계기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최근 러시아는 물론 세계무대에 자신들의 역량을 드러내기 시작한 중앙아시아 출신 감독들이 자신의 출신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은 물론 이미 전 지구적인 이슈가 된 이주노동자 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고 있는지 살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유수프 라지코프, 세르게이 드보르체보이, 누르벡 에겐의 작품들이 거론될 것이다. 이들은 모스크바에서 영화 수업을 받았지만 중앙아시아에서 나고 자란 감독들로 모두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노동자를 주인공으로 다룬 바 있다. 라지코프의 『이주노동자』(2009)와 『모스크바바드로부터의 탈출』(2015), 드보르체보이의 『아이카』(2018), 에겐의 『빈 집』(2010) 등의 작품이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대상이다.

    영어초록

    It was in the whirlpool of World War II that film art began to spring in Central Asia, where only propaganda films had existed. The studios of Moscow and Leningrad, which had to avoid extinction, took refuge in Central Asian cities such as Almaty, Tashkent and Stalinabad. The enthusiastic youths of Central Asia, who for the first time encountered the works of the best Russian directors of the time, naturally pursued studying in Moscow. However, because Goskino USSR controlled the cost of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ir nationalistic works became main target of censorship. Thus, the dissolution of Soviet Union in 1991, which stopped all financial support from Moscow, was an event that pushed the Central Asian cinema into existential crisis, and at the same time, ignited its oppressed cinema potential.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directors from Central Asia are dealing with the issue of migrant workers, which has already become a global issue. In this article, works by Yusup Razykov, Sergey Dvortsevoy and Nurbek Egen will be analyzed. All of these directors studied in Moscow but were born and raised in Central Asia. Thus, they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local tradition as well as the world view. In this paper, the main subjects of analysis are Razykov’s Gastarbeiter(2009), Escape from Moskvabada(2015), Dvortsevoy’s Aika(2018), and Egen’s Empty House(201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