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전쟁영화와 기록영화 속 미국(군) 표상 연구: 6⋅25 전쟁과 그 전후(前後) 시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US(army) Described in the North-Korean War Films (1945∼1960))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북한 전쟁영화와 기록영화 속 미국(군) 표상 연구: 6⋅25 전쟁과 그 전후(前後)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84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중

    초록

    북한은 연합군의 한반도 투입 이후 한국전쟁의 개념을 ‘조국해방전쟁’으로 재 규정했고, 이 인식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는 미국에 대한 북한의 적대적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상징적 용어이자 개념으로서 당대 북한의 전쟁영화에서 미 국과 미군에 대한 표상이 의미 있게 해석될 수 있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조국해 방전쟁’을 다룬 북한의 영화들 중 선전성이 가장 짙게 나타나는 영화들은 당연하게도 전시에 제작된 전쟁 소재 영화들이다. 북한의 조선노동당 지도부는 영화를 통해 미 제국주의와의 투쟁을 강조하며, 미국에 대한 적개심을 바탕으로 하여 조 직 통합을 위한 목적성을 선명히 드러낸다. 해당 영화들에서 미국(군)은 필연적으 로 적대자의 역할을 맡는다. 전시에 전쟁을 다룬 영화는 크게 기록영화(다큐멘터 리)와 예술영화(극영화)로 나눠 살펴볼 수 있는데, 미국은 그 모두에서 가혹한 침 략자의 이미지를 드러낸다. 흥미로운 것은 세부적으로 영화의 형식이나 내러티브 양상에 따라 미국의 표상이 세밀하게 차이를 드러내거나 시나리오와 실제 영화 적 표현들에서 약간의 간극이 발견되는 지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기록영화에서는 미군의 민간인 학살, 세균전 자행과 같은 비인도적 행위들을 전면화시킨다. 기록 영화들에서 주로 묘사되는 것은 피해자인 북한 주민들이며 미국은 가해자인 그 상대자로서 존재한다. 기록영화 내 미군의 실제 등장은 제한적이지만 피해자인 북한 주민들이 괴롭게 그려질수록 미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강화된다. 반면 예술영화에는 실제 미군이 실체로서 등장한다. 이들은 부도덕하면서도 잔혹한 절 대 악의 이미지를 표상한다. 다만 프로타고니스트에 해당하는 북한인 주인공의 계급이나 지위에 따라 강조되는 미군의 표상이 달라지는 모습이 발견된다. 또한 영화적 표현들로서 미국의 부정적 표상을 극화시키려는 시도들이 엿보이는데, 이 는 매우 전형적인 영화적 표현들임과 동시에 때로는 형식주의적 특징을 드러내 고 있기에 당시 형식주의 타파를 외치던 당의 지침과 관련해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는 지점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표상을 영화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특 징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영화적 해석을 시도한다.

    영어초록

    North Korea has re-regulated the concept of the Korean War as a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since the UN forces’ deployment to Korea. It is a symbolic term that gives a glimpse into the North Korea’s hostile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It is also why the expression of the U.S. and U.S. troops is interpreted meaningfully in North Korea’s war films. Of the North Korean films dealing with the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the most propagandizing films are, of course, war films produced during wartime. North Korean Worker’s Party emphasized its fight against U.S. imperialism through the films. The films clearly reveal their ideological aims based on hostilit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ose films, the United States inevitably takes on the role of antagonist.
    North Korean war films can be divided into documentaries and art films(feature films). The United States is represented by the image of a harsh aggressor on both sides.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U.S. expression varies in detail depending on the format or narratives of the film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of scenarios and real movies.
    In the documentary, they accuse the U.S. military of inhumane acts such as massacre of civilians and bacterial warfare. Mainly depicted in the documentary are the North Korean people as the victims. The U.S. exists as a perpetrator.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U.S. military in documentaries is not so much. However, the more distressed the North Korean people, the more negative the image of the U.S. military is. On the other hand, the real U.S. military appears as a reality in art films(feature films). They represent the image of an immoral and brutal absolute evil. However, depending on the rank of the North Korean protagonist, the U.S. military’s expression may change. It also attempts to dramatize the negative image of the United States as a cinematic expression. It is a very typical cinematic expression and also a formalistic feature. In respons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cinematic interpretation of the U.S. image in North Korean war mov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