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현(淨賢) 박윤흔 박사의 행정법학 - 관료와 학자의 병행적 삶 속에서 꽃피운 실용학문 - (Theory of Administrative Law of Dr. Yun Heun Park, Junghyun (pen name) - Practical study grown in the concurrent life of bureaucrat and scholar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정현(淨賢) 박윤흔 박사의 행정법학 - 관료와 학자의 병행적 삶 속에서 꽃피운 실용학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4권 / 2호 / 247 ~ 286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섭

    초록

    이 논문은 정현 박윤흔 박사의 학문세계와 삶의 과정을 탐구하여 공법학 원로와의 대화에서 발표한 글이다. 정현 박윤흔 박사는 법제처에서 사반세기(25년) 이상 근무하면서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행정법학의 체계모색과 우리의 행정현실에 기초한 이론개발을 함과 동시에 각종 제도의 설계ㆍ도입 및 법정책적 논의를 전개하면서 독특한 학풍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현 박윤흔 박사의 행정법학은 관료와 학자의 병행적 삶 속에서 꽃피운 실용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의 진행과 관련하여 머리말(I)에서는 1. 정현 박윤흔 박사의 생애와 학문적 역정 2. 법제처와 정현 박윤흔 박사 3. 정현 박윤흔 박사의 생활신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정현 박윤흔 박사의 행정법학의 발자취(II)에서는 1. 박윤흔 행정법학의 준비기(準備期): 법제처 근무와 미국유학(1961-1972) 2. 박윤흔 행정법학의 도약기(跳躍期): 법제처 법제관 시절(1973-1978) 3. 박윤흔 행정법학의 성숙기(成熟期): 법제처 고위 관료시절(1978. 8 - 1988. 2) 4. 박윤흔 행정법학의 완결기(完結期): 경희대 법과대학 교수시절(1998-1993, 1995) 5. 박윤흔 박사의 현실참여기: 환경처장관과 대구대 총장시절(1994-1995, 1996-2000) 6. 박윤흔 행정법학의 유행기(遊行期): 2000. 3. 정년이후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정현 박윤흔 박사의 행정법학의 지향점(III)은 1. 우리 행정현실의 문제해결에 적합한 실용적 행정법학 2. 법해석학을 넘어 입법정책학의 차원으로 발전한 행정법학 3. 한국의 실정에 맞는 이론개발과 미국법제 중심의 비교법적 방법론 4. 헌법과 연계된 행정법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나아가 정현 박윤흔 박사의 공헌(IV)은 1. 표준적 행정법 교과서의 발간 2. 현실문제에 대한 이론개발 및 제도의 실현을 통한 실용법학의 추구 (1) 행정현실을 반영한 실용법학 (2) 입법예고제의 입안부터 기반마련까지 초석형성 (3) 과징금제도의 도입에 기여 (4) 행정심판제도 개선 3. 다양한 경험에서 비롯된 공익과 사익의 조화를 추구한 점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현 박윤흔 박사는 행정법학을 연구하면서 주어진 현실에서 최선을 다하는 진충보국(盡忠報國)의 자세로 국가와 사회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d the academic world and life of Dr. Yun Heun Park, Junghyun (pen name), and its ideas were disclosed in dialogs with the senior public law scholar. Working in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for more than a quarter of a century, he not only looked for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suitable for the Korean reality and developed theories based on the Korean administrative reality, but also created unique academic traditions designing and introducing various systems and promoting legal and political debates. In this point of view, his administrative law can be called the practical study grown in the concurrent life of bureaucrat and scholar.
    In this paper, the preface (Chapter I) describes (1) life and academic journey of Dr. Yun Heun Park, (2) Dr. Park’s performance in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3) Dr. Park’s life credo. In the Chapter II titled the administrative law footprints of Dr. Yun Heun Park, the following 6 different periods were divided for study: (1) the preparation period of Dr. Yun Heun Park for administrative law: work in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study in the USA (1961-1972), (2) the leap period of Dr. Park’s administrative law: the days of work in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s a legislative officer (1973-1978), (3) the maturing period of Dr. Park’s administrative law: the days of work in the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s a high-ranking official (August 1978 through February 1988), (4) the completion period of Dr. Park’s administrative law: the days of teaching as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Law of Kyunghee University (1988-1993 and 1995), (5) the period of Dr. Park’s participation in reality: the days of service as the Korean Minister of Environment and the President of Daegu University (1994-1995 and 1996-2000), and (6) the expedition period of Dr. Park’s administrative law: after retirement in 2000. The chapter III describes the pointing spots of Dr. Yun Heun Park’s administrative law as (1) the practical administrative law suitable for solution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reality, (2) the administrative law advancing to legislative and political levels surpassing the legal hermeneutics, (3) the theories developed suitable for the Korean reality and the comparative legal methodology based on the US legislative system, and (4) the administrative law in conjunction with the constitution.
    The Chapter IV titled the contributions of Dr. Yun Heun Park describes (1) publication of standard administrative law textbook, (2) pursuit of the practical law through development of theories for real issues and realization of systems: (i) the practical law reflecting administrative realities, (ii) formation of the cornerstone for the legislation pre-announcement system, (iii) contribution to introduction of the fine imposition system, and (iv)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trial system, and (3) pursuit of harmony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with various experiences.
    In conclusion, Dr. Yun Heun Park, Junghyun (pen name), greatly contributed to the country and society in the attitude of loyalty and patriotism doing best in given realities in the course of studying administrativ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