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교양교과목을 위한 세계시민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옷장 속의 세계시민 (A Case Stu 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University Curriculum: Global citizenship in the close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10
21P 미리보기
대학교양교과목을 위한 세계시민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옷장 속의 세계시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9호 / 619 ~ 639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위은하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세계시민교육프로그램을 의생활 영역과 함께 융합하여 개발하고 수업으로 진행하는사례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인식 및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방법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ADDIE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옷장속의 세계시민 을 개발하였다.
    주차별 수업목표 및 주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자료를 중심으로 비대면과 대면수업이 혼합된 수업환경을 구조화하여 광주광역시 C대학의 교양교과목으로 연구자가 운영하였다. 수업 후 설문과 개방형 질문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대한 논의를통해 타 교과와 융합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생활 영역과 융합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의생활 실습이 융합된 내용을 진행하면서 세계시민으로서 적극 참여하였다. 또한 찬반토론과 생각나눔을 통한 활동수업을 진행할 시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여러 차례 진행된 토론 및 생각나눔 수업으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고 말하는 것에 학생들의자신감이 상승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면 실습수업 시 수업 전에 동영상자료를 제공하는 플립러닝 교수방법의 적용은 학생들간의 실습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인식 및 내용확장을 위한 전문가 특강은 전공에 있어 의생활 교육의 범위를 갖고 있지만 글로벌 이슈에 따른 특강을 세 차례 실시하여 전문가 특강으로 강좌의 방향을 잃지 않고 좀 더 강좌의깊이를 확장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와 세계시민성 인식변화추이를 위한 설문결과에서 전체적으로 본 수업을수강한 학생들 대부분 ‘지식’과 ‘태도’ 영역에 비해 ‘기술’, ‘실천의지’ 부분에 대한 변화를 뚜렷하게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 볼 때 대학교양교과로서 다른 교양교과 속에서 세계시민교육의 핵심을 담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진로, 사회, 디자인 교육 등과 혼합하여 운영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change through case studies that combin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as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ith clothing lif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Global citizenship in the closet”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alysis. By setting class goals and topics for each week, and structuring the class environment mixed with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centered on teaching-learning course plans and class materials, researchers operated it as a liberal arts course at C University in Gwangju. It was intended to derive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used with other subjects through discussions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post-class surveys and open quest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as global citizens i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used with the clothing lif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actively utilize an online class platform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when conducting activity classes through pros and cons discussions and thoughts sharing, and students' confidence in organizing and speaking their opinions has been increased through several discussions and thoughts sharing classes. The application of the flip learning teaching method that provides video data before class during face-to-face practice classes was evaluated as a positive way to control the speed of practice among students. Special lectures for students' perception and content expansion have the scope of clothing life education in their majors, but they were able to expand the depth of the course without losing the direction of the course by conducting three special lectures based on global issues. Finally,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chang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global citizenship perception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ho took this class clearly showed changes in the “technology” and “will to practice” areas compared to the “knowledge” and “attitude” areas.
    Conclusions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clude the co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liberal arts curriculum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it is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career, society, and design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