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사회 속 추모 박물관: 추모 박물관이 주는 즐거움에 대하여 (Memorial Museum in Consumer Society: regarding the pleasure of consuming memorial museum)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12
23P 미리보기
소비사회 속 추모 박물관: 추모 박물관이 주는 즐거움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27호 / 289 ~ 311페이지
    · 저자명 : 차지민

    초록

    박물관은 지금까지 주로 과거를 저장하고 전시하는 수동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박물관을 현재 그리고 미래와의 연관성 안에서 이해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박물관, 그 중에서도 추모 박물관들이 다수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두 번 다시는(Never Again)”의 메시지는 박물관 공간 안에서만 공허하게 울릴 뿐 전시된 과거의 끔찍했던 인권탄압은 전 세계적으로반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추모 박물관의 과거와 현재 사이에 부재하는 연결고리에 집중하여 현대사회에서 박물관이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논의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 분석에 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과거를 전시하는 박물관을 현재에 위치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과거와 현재의다리 역할을 하는 방문자들의 경험을 쫓아 박물관을 탐색한다. 기존 박물관 연구는 전시와 그 전시를 기획한 배경 그리고 인물들에 관심을 집중한 반면 방문객들의 경험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현재를 살고 있는 방문객들이 과거의 공간인 박물관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살핌으로서 과거에 머물러있던 박물관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여 현대사회에서 박물관이 어떠한 위치에 있으며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박물관 연구가 박물관 자체에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는 사회라는 넓은 틀 안에서 박물관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에 대한 논의를 확대시키고자 하며 이를 통해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추모 박물관은 두 갈래로 논의된다. 첫 번째로,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크럼(Simulacrum) 이론을 통해 박물관 전시와 방문객들의경험을 분석하고, 그의 현대 소비사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추모 박물관이소비사회 중심에 살고 있는 방문객들에 의해 어떻게 즐겁게 소비되고 있는지논의한다. 두 번째로,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행복함(Happiness)에 대한 이론을 통해 추모 박물관이 어떻게 인권유린의 역사를 해피엔딩이라는 “완벽한 결말”로 왜곡시킴으로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사회갈등을 의도치 않게 감추는지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memorial museum as a place of consumption rather than commemoration by locating the museum in the context of consumer society. The current museum studies heavily focuses on museum itself, such as its exhibit, historical background, and administrators, who planned and structured the museum, and pays little attention to how museum is understood within a society. In other words, existing museum studies conducts museum research separate from society hence proceeds the analysis in isolation, which often produces a conception that museum is a place of the past and irrelevant to the present. The disconnection between museum and society and the misconception that museum is a space that remains in the past is precisely what this study takes an interest in because museum does not function independently from society. Thus,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on visitors as they are bridging the museum to society and past to present. Consequently, this study converts the direction that remained mostly inside a museum(past) to outside(society, present) and explores how memorial museum is consumed by visitors, who step into the museum from consumer society.
    For the discussion of consumer society, the study utilizes Jean Baudrillard’s theory on consumption and expands the discussion to how the simulacrum of memorial museum is consumed by visitors.
    Focusing on visitors’ experiences the study addresses why visitors consume memorial museum as if it is a product. Also, through Baudrillard’s theory, the study examines how visitors practice their habit of consumption inside the museum space. Following Baudrillard’s definition of consumption as a “pleasure” and “duty”, the study discusses how these factors provoke happiness by falsely persuading visitors to conceive memorial museum as a symbol of happiness that represents “a perfect end”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mulacra that trigger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consumption can unintentionally mask the unabiding atrocities that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planting a false impression to visitors that human rights abuses are term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