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담 속 ‘젊은 과부’ 캐릭터의‘존재적 속성’과 서사적 의미 (The Existential Attributes and Narrative Meaning of ‘Young Widow’ Character in Folktal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민담 속 ‘젊은 과부’ 캐릭터의‘존재적 속성’과 서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14호 / 141 ~ 164페이지
    · 저자명 : 나지영

    초록

    이 글에서는 ‘젊은 과부’가 등장하는 다양한 민담들을 검토하면서 젊은 과부 캐릭터가 지니는 ‘존재적 속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젊은 과부 캐릭터의 서사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먼저 2절에서는 젊은 과부의 존재적 속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시아버지-과부 며느리’ 관계 중심의 <며느리의 모함과 회초리>, <며느리의 오해와 도둑의 증언>, <며느리의 유혹과 모함> 등을 살펴보았다. 시아버지와의 관계가 중심이 되고 있는 이야기에서는 특히 사회 규범의 강력한 영향력과 억압된 욕망의 갈등이 첨예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절에서 논의 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으로 자신의 억압된 욕망을 표출한 과부 며느리들은 시아버지의 도덕적 완결성 앞에서 무너지면서 사회적 비난과 처벌을 받게 되고, 오히려 자신의 욕망을 일절 표현하지 않았던 과부 며느리만이 ‘재가’에 성공한다는 것이다. 둘째, 민담 속 ‘젊은 과부’는 억압된 자신의 욕망을 스스로 꺼내 보였다가는 사회적 질타와 처벌을 면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스스로는 자신의 욕망을 말할 수 없고 누군가가 먼저 자신의 감춰진 욕망이 드러날 수 있도록 움직여 주기를기다리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야기의 논리상 ‘젊은 과부’는 억압된 욕망을 감추지못하고 그대로 표출시켰다가는 오히려 자신이 진정 소망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는아이러니를 간직한 캐릭터이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젊은 과부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존재적 속성이 어떠한 서사적 의미를 갖는지 보다 면밀히 살폈다. 이를 위해 ‘노총각-과부’ 관계 중심의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를 살펴보았다. 3절에서 논의 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젊은 과부’는 ‘젊음’과 ‘부(富)’로 상징되는 ‘수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지만 그 가능성을 먼저 실현시키려고 움직일 수는 없는 존재이다. 따라서 ‘젊은 과부’ 캐릭터가 주체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먼저 움직일 수 있는 자’ 와의 만남이 필연적이다. ‘스스로는 결핍을 채울 수 없지만 먼저 움직일 수 있는 자’ 와 ‘결핍을 채울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먼저 움직일 수는 없는 자’와의 만남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둘째,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에서 젊은 과부가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을 가르쳐주는 대목은 노총각이 과부를새로운 판에 ‘자발적으로’ 동참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젊은 과부는 노총각이 마련한 판을 끝까지 따라가 보면서 감춰져 있던 욕망을 작품 전면으로 서서히 드러낸다. 젊은 과부는 어떠한 수치심이나 거부감 없이 서서히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자 억압되었던 욕망은 더 이상 감춰야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반드시 성취시켜야 할 소중한 소망이 되었다. 셋째, 사회적으로 금기시 되거나 규범에 어긋나는 개인의 욕망, 사회의 규범과 개인의 욕망이 갈등하고 충돌하는 지점에서 ‘목격자’의 등장은 개인의 억압된 욕망이 더욱 억압되고 좌절되느냐 또는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느냐의 기로에 놓이게 만든다.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에서 노총각과 젊은 과부의 성교 장면을 목격한 ‘옹기장수’ 는 감시자나 처벌자가 되지 않고, 동조자 내지 승인자가 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젊은 과부의 변화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처음에는 억압된 욕망을 감추고 있던 젊은과부가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그것을 성취시키고자 적극적으로 움직이게 되었을 때, ‘마지못해’ 참여하여 ‘시늉’만 하였던 젊은 과부 역시 그 판의 새로운 주인공이 되었을 때, 가짜로 끝나고 말았을지 모를 그 판은 ‘진짜’가 되며 목격자는 감시자나 처벌자가 아니라 동조자 또는 승인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istential attributes and narrative meaning of ‘young widow’ character in folktale. In chapter 2, <Daughter-in-law’s slander and a cane>, <Daughter-in-law’s misunderstanding and testimony>, <Daughter-in-law’s seduction and slander> are examined. Those folktales ar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in-law’ and ‘widowed daughter-in-law’. ‘Father-in-law’ character represents a ‘sound social norm’. The following are some findings. First, widowed daughter-in-law who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eagerly always failed to get remarried. ‘Remarry’ is what widowed daughter-in-law’s truly wish for. Ironically, widowed daughter-in-law who didn’t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at all only succeed in remarry. On the contrary, widowed daughter-in-law who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eagerly had to be accused and punished by social morality. Second, ‘young widow’ character in folktale cannot show her desire by herself. She is a ‘unmovable being’ who has to wait someone to give her a chance to express her desire.
    If ‘young widow’ character shows her oppressed desire and tries to achieve it, she has to confront the severe moral standard, and ends up fail.
    In chapter 3,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s examined. This folktale 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bachelor’ and ‘young widow’. The following are some findings. First, ‘young widow’ has lots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power which are shown as ‘wealth’ in the text. On the other hand, ‘old bachelor’ always describes as poor man. Even though ‘young widow’ has lots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power, she cannot try to achieve her desire by herself. In order to achieve her true goal, ‘young widow’ character needs to meet a ‘movable being’. ‘Old bachelor’ is the character who can move first and express one’s desire. When these two beings are met, fundamental lack of each character can be fulfilled. Second, the ‘process of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n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s the process of ‘young widow’s change. Before she involved the process initiated by the old bachelor, she hid her desire and couldn't express it. She couldn't try to achieve her true desire. However, after slowly and carefully getting involved the process, she finally admitted her hidden desire, and tried to achieve it. Third, when the social norm and personal desire are collided, appearance of witness is the turning point. In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a pottery dealer’ who witnessed the coitus between ‘young widow’ and ‘old bachelor’ became the ‘approver’ not the ‘surveillant’. If ‘a pottery dealer’ became the ‘surveillan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widow’ and ‘old bachelor’ would confront the severe social morality. However, in this folktake, appearance of witness helped the ‘young widow’ to achieve her oppressed desire.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hange of ‘young widow’. When ‘young widow’ also can express her desire freely, and became the active agent of her own behavior, the witness can be the ‘approver’ eas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