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향동사와 비처소 목적어의 결합 및 “来/去” 기능 고찰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directional verbs and non locative objects and the function of “lai/qu”)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4
38P 미리보기
방향동사와 비처소 목적어의 결합 및 “来/去” 기능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87호 / 307 ~ 344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방향동사와 비처소목적어는 ‘동사₁’ 의 통사적, 의미적 기능과 비처소 목적어와의 결합 형태 등이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来/去“ 뒤에 목적어가 놓이는 목적어 후치식은 일반적으로 수량사를 수반하는 형태를 취한 비한정 명사성분이 목적어로 위치할 때 성립할 수 있다. 그러나 ‘동사₁’이 비이동 의미를 지니고 있거나 목적어가 신체 부위를 나타낸다면 목적어 후치식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또한 목적어 후치식에 행위자목적어가 위치할 때 존현문을 형성하게 되며 이것은 목적어가 수량사를 수반한 비한정 명사성분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전제한다. ”滚, 漂, 飘, 传, 流“ 등의 비의지 의미를 지닌 동사는 대상의 이동을 나타낼 수 있으나 여기에 출현하는 목적어는 통제되는 대상이 아닌 추상적 사물로서 간접 행위자로 전환되어 존현문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대상목적어가 출현하면 ‘동사₁’ 앞의 동작자가 방향 이동을 시키는 주체자가 되며, 대상목적어는 피동 대상이 되는데, 이것은 대상목적어가 방향동사와 결합했을 때가 행위자목적어가 출현했을 때보다 더 자유롭게 문장을 성립시키는 요건이 되며, 행위자목적어는 문식의 제한을 받게 된다. 목적어 중치식에서 비처소목적어는 수량사를 수반한 형태로 출현할 수 있으며 행위자목적어가 수량사를 수반해야만 하는 것에 비해 대상목적어는 한정 명사성분으로 위치할 수 있다. 목적어 전치식에서는 ‘동사₁’의 뒤에 비처소목적어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동사₁’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了“가 ‘동사₁’뒤에 첨가되면 양상은 달라지는데 목적어 전치식은 연동문 또는 겸어문과 유사한 양상을 띠며, “上、下、进、出、回、过” 등의 방향동사와 ”来/去“가 결합해 함께 위치해야만 가능하다.
    기존 어법연구에서 목적어 후치식은 완료를 나타내며, 동작의 미완성을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来/去” 앞에 목적어가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것은 “来/去” 단독으로 ‘동사₁’과 결합했을 경우에 제한되며, 목적어 중치식은 동작의 완성 또는 미완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방향동사 “来/去”는 ‘동사₁’ 뒤에 단독으로 위치하거나 혹은 “방향동사+来/去‘ 형태를 형성하여 방향보어로 쓰인다. 그러나 ’동사₁+방향동사+来/去‘ 형태로 쓰여 목적어와 결합할 때 “来/去”는 생략할 수 있으나 앞의 방향동사는 생략 불가능한 것 등과 같이 “上、下、进、出、回、过” 등의 방향동사와는 그 통사적, 화용적 기능이 다르며, 동작 방향 이동의 기준점을 나타내준다. 화용적 측면에서 화자와 청자는 구체적 방향 이동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 양방향의 이동을 나타내고 그 기준점을 표시하는 ”来/去“에 대해서는 충분조건으로 인식한다. ”来/去“가 단독으로 ’동사₁‘ 뒤에 쓰였을 때는 구체적 방향 이동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来/去“가 필수조건의 역할을 담당한다. ”来“와 ”去“의 비대칭 현상에서 ”来“는 보편적으로 쓰일 수 있으나 ”去“는 제한적으로 쓰인다. 그러나 목적어 중치식에서 “去”를 생략하면 문장은 성립할 수 있는데, “去”가 생략되면 동작의 기준점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비대칭 현상은 ”来/去“가 지니고 있는 기본 의미에서 허화되는 과정을 거쳐 심리적 의미에 기반하고 있다. 요컨대, 인지 관점에서 화자로의 이동,즉 중심으로의 이동과 그 종점을 나타내는 것은 잘 받아들일 수 있으나 중심에서 이탈하여 종점을 알 수 없는 것은 사용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또한 통사적 측면에서 보어는 술어 뒤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来/去“는 앞의 동사술어와 떨어져 목적어 뒤에 위치하기도 하며 생략되기도 한다. 특히 ”去“는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다. 이로 인해 ”来/去“는 방향보어가 아닌 방향조사로 간주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할 것이다.

    영어초록

    Directional verbs and non locative objects are organically influenced by th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of 'V₁' and the combination of non locative objects. An object postfix with an object after ”Lai/Qu” can be established when the object is an indefinite noun component combined with numeral-measure compounds. However, if 'V₁' has a non mobile meaning or if the object represents a body part, it is difficult to express it in the form of object postfix. Also, when an agentive object appears in the object postfix, an existential sentence is formed. This presupposes that the object must be an indefinite noun component combined with a numeral-measure compound. Verbs with the meaning of non volition such as "Gun, Piao, Chuan, Liu", etc., may indicate the movement of an object. In this form, however, the object is converted into an indirect agentive as an abstract object, forming an existential sentence. However, if a recipient object appears in the sentence, the operator before the "V₁" becomes the subject to move the direction, and the recipient object becomes the Passive patient. This means that when combined with directional verbs, a recipient object can make a statement more freely than an agentive object. Also, an agentive object is constrained by the sentence-type. In the object centered form the non locative object can be placed in combination with the numeral-measure compound. However, while an agentive object must be combined with a numeral-measure compound, a recipient object can be located in the form of a definite noun component. In object preposition, non-locative object is placed after "V₁" and is directly affected by "V₁". However, when "Le" is added after "V₁", the behavior is different. object preposition is similar to serial-verb construction or pivotal sentenc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mbine directional verbs such as “Shang, Xia, Jin, Chu, Hui, Guo” and “Lai / Qu”. In the existing grammar research, object postfix is known to indicate the completion of an action, and the object is placed before "Lai / Qu" to express the incompleteness of the action. However, this is limited when "Lai / Qu" is combined with "V₁" by itself, and object centered form may indicate complete or incomplete motion. Directional verb “Lai / Qu” is used after “V₁” or directional complement by forming “directional verb + Lai / Qu”. However, when combined with the object by forming 'V₁+ directional verb + Lai / Qu', “Lai / Qu” can be omitted, but the preceding directional verb cannot be omitted. In short, "Lai / Qu" differs from the direction verbs of "Shang, Xia, Jin, Chu, Hui, Guo" and its syntactic and pragmatics functions, and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movement direction movement. In terms of pragmatics, it is common for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specific directions. However, it is often considered sufficient for "Lai / Qu", which indicates bidirectional movement and marks its reference point. When "Lai / Qu" is used after "V’ "alone," Lai / Qu "is a prerequisite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specific direction movement. In the asymmetry of "Lai" and "Qu", "Lai" can be used universally, but "Qu" is limited. However, if "Qu" is omitted from object centered form, the sentence can be established. If "Qu" is omitted, the reference point of motion disappears. This asymmetry 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vanished from the basic meaning of "Lai / Qu". In short,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the movement to the speaker, that is, the movement to the center and representing its end point, is well accepted, but is limited if the end point is unknown and the end point is unknown. Also, in syntactic terms, complement means to be placed after the predicate. However, "Lai / Qu" may be placed after the object or omitted. In particular, "Qu" is of limited use. Because of this, ”Lai / Qu“ is more appropriate when it is considered as directional auxiliary rather than directional comple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