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소비자법 판결을 통해 본 원칙교량적 법률해석 (Legal Interpretation by Comparing Principles,As Seen Through the Latest Decisions on Consumer Protection Law)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09
28P 미리보기
최근 소비자법 판결을 통해 본 원칙교량적 법률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96권 / 247 ~ 274페이지
    · 저자명 : 황원재

    초록

    현행 법률들은 플랫폼 시장을 기본전제로 만들어져 있지 않아 플랫폼을 통한 거래상황을 정확히 규율하기 어렵다. 이러한 입법상황은 규범해석의 이론적 한계와 현실적 필요성 간의 괴리를 초래한다. 서울고법 2020.5.20. 선고 2019누38108 판결은 이러한 괴리현상의 문제점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이 사건은 숙박예약 플랫폼 사업자가 약관에 환불불가 조항을 두고 있었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것을 명령하였는데, 이 명령이 적법한지가 다투어진 사건이다.
    이 사건은 약관규제법의 입법취지와 목적이, 동일 법률에 규정된 행정법규의 해석에 어느 정도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냐가 다투어진 사건이다. 약관규제법은 물론 경쟁법이나 조세법과 같은 법 영역은 사회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법개념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법개념을 입법 당시 예상하지 못한 사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법문언에 구애받지 않고 목적론적 해석이 강조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법문언들은 그 문언이 사용된 법률 또는 규정의 체계적, 목적론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결국 법개념의 상대성은 불가피하며, 체계적 해석 및 목적론적 해석을 통해 그 진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이 글에서 언급한 해석방법은 소비자법에만 특별히 타당한 것이 아니다. 또한 소비자법의 구체적 규정을 보편적으로 대체할 수도 없다. 다만, 소비자법의 규정들은 민법보다 다양한 원칙이 각각의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기준이나 목표로 작용하므로 해당 분야에 적절하고 체계적인 해석기준을 찾으려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이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 시장과 같이 입법자가 예상하지 못한 제3자 관계의 등장은 더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해석’이라는 이름으로 ‘문언의 한계’라는 금지된 경계선을 마음대로 넘어서는 안 된다. 법률의 해석은 입법자 스스로가 법률의 문언과 체계를 통해 남겨놓은 입법자의 의도라는 한계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Current acts are not made on the premise of the platform market, so they do not accurately regulate transactions through the platform. This legislative situation causes a gap between the theoretical limits of norm interpretation and the practical necessity. The judgment of Seoul High Court, 2020.5.20. 2019 Nu 38108, representatively shows the problem of this discrepancy. In this case, the accommodation booking platform operator had a non-refundable clause in the terms and conditions,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 ordered it to be modified or deleted.
    In this case, the issue was the extent to which the legislative purpose and purpose of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would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administrative regulations stipulated in the same act. Legal concepts that are highly affected by social changes are used in legal areas such as competition law and tax law as well as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se legal concepts to cases that were not anticipated at the time of legislation, teleological interpretation should be emphasized regardless of legal text. In other words, each legal text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systematic and teleological context of the act in which it is used. In the end, the relativity of the concept of act is inevitable, and its true meaning must be grasped through systematic an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method mentioned in this article does not apply only to consumer law. Also, such an interpretation method cannot universally replace the specific provisions of the Consumer Law. However, in the provisions of the Consumer Law, various principles act as important value standards or goals in each area, so more efforts are needed to find an appropriate and systematic interpretation standard.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third-party relationships that legislators did not expect, such as the online platform operator, requires a more comprehensive review. However, in the name of 'interpretation', one should not arbitrarily cross the forbidden boundary of 'limits in the interpretation of words'. This is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must remain within the limits of the legislator's intentions that the legislator himself has left through the text and system of the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