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보비대칭을 악용하는 다크패턴의 규제와 소비자 보호 (Regulation of Dark Patterns that Abuse Information Asymmetry for Consumer Protectio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8
23P 미리보기
정보비대칭을 악용하는 다크패턴의 규제와 소비자 보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법연구 / 9권 / 3호 / 95 ~ 117페이지
    · 저자명 : 윤태영

    초록

    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대형 플랫폼들은 사람들의 데이터를 손쉽게 모으고 점점 더 많은 데이터를 쌓아, 각 개인을 대신해 결정을 내리기 쉬운 환경마저 구축해 가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 중 하나로 최근 다크패턴(Dark Patterns)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것은 소비자가 의도하지 않은 선택과 구매 결정을 하도록 교묘하게 설계된 속임수 설계⋅디자인을 뜻한다. 소비자를 기만하는 다크패턴을 규제하기 위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다크패턴에 대한 대책을 발표하였고, 국회에서도 다크패턴을 규율하는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이 여러 건 발의되었다. 그런데 사업자가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것은 사업의 본질적 속성이고, 현행 법제도상으로도 충분히 규제할 수 있으므로 중복규제의 우려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의 다크패턴에 대한 대책을 검토하고 현재 국내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에 문제점은 없는지 분석하였다.
    미국에서는 아직 연방차원에서 다크패턴을 규율하는 별도의 법제도를 마련하지는 않았고, 연방거래위원회(FTC: Federal Trade Commission)가 FTC법으로 일반적인 규제를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캘리포니아 프라이버시권법(California Privacy Rights Act, CPRA) 등 주차원에서 다크패턴을 구체적으로 규제하는 법을 마련한 곳도 있다. 한편 EU는 최근 디지털 서비스법(DSA: Digital Services Act)에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다크패턴의 이용을 명시적으로 규제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영국이나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특히 청소년에 대한 다크패턴, 특히 개인 데이터 제공과 관련한 사항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법들은 다크패턴의 무서움, 특히 성장하는 청소년의 선호도를 지배하고자 하는 시도를 막고자 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이에 비해 현재 국내에서의 대책은 단순히 상술에 대한 규제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 향후 공정거래위원회가 가이드라인 등 정책을 마련할 때에는 다크패턴의 규율 대상으로서 이러한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도 포함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Along with the advent of data era, large platforms easily gather and accumulate people’s data in quantity, making them able to make decisions on behalf of each individual. One sid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dark pattern, which refers to trick plan or trick design that leads customers to make unintended choices and buying decisions. In order to regulate dark pattern that deceive consumers, the Fair Trade Commission recently announced measures against dark patterns, and several amendments to the E-Commerce Act have been proposed at the National Assembly to regulate dark patterns. However, some point out that inducing customers to choose the product is the essential attribute of business, and that dark patterns can be sufficiently regulated under current legal system and therefore should be carefully approached due to concern of redundant regulations. This study examined measures of overseas considering dark patterns and analyzed whether there were any problems with the dark pattern policies currently being pursued in Korea.
    In the United States, a separate legal syste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o regulate dark patterns at the federal level, and the Federal Trade Commission(FTC) generally regulates them under the FTC law.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states that specifically regulate dark patterns on the state level, such as the California Privacy Rights Act (CPRA). Meanwhile, the EU has recently explicitly regulated the use of dark patterns on online platforms under the Digital Services Act (DS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K and California strictly prohibit the usage of dark pattern toward teenagers, especially the provision of personal data. These regulations seem to be intended to prevent attempts to use dark pattern and dominate customers’ preferences, especially those of the growing adolescents. Meanwhile, the fact that current domestic countermeasures are approaching this situation simply in terms of regulation toward the business itself is regrettable. In the future, when the Fair Trade Commision prepares policies such as guidelines regulating dark pattern, such data processing should be included as the subject of dark pattern 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