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ighschool Students’ Writing from Sources in Small - Group)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작문연구 / 30호 / 101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태경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 양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사서교사가 공동으로 두 차례에 걸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연구자가 제안한 10가지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다음, 자료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해당 주제에 대한 단행본들이 일부 제공된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자료를 탐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합하는 글쓰기 활동을 하여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것은 소집단 구성원들이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나뉘었고, 과제 수행을 하는 데 시간 부족을 호소하였으며, 자료 탐색 과정에서 자료의 양이 많고, 학술논문과 같은 전문 정보 독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특정 학습자 홀로 모둠원들이 추출한 내용을 통합하였다는 점이다.
    활동 양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의 구조는 먼저, 학습자들은 서로의 학업 수준에 따라 자신을 포함한 모둠원들의 능력을 판단하고 스스로를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지시하는 자를 중심으로 철저한 역할 분담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였고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모둠원들은 중심 활동에서 배제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료 탐색의 과정에서 자료의 신뢰성과 적절성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자료에 접근하기 편하거나 인용하기 편리한지 등에 따라 자료를 선택하여 글쓰기에 활용하였다. 효율성의 추구는 특정 모둠원만이 자료를 통합하는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귀결되었다. 개인에게 집중된 자료 통합 활동은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가져왔고 이 과정에서 모둠원들이 추출한 자료의 맥락 파악의 어려움 호소, 출처 표기와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 소홀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반응에서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제한된 시간 내에서라도 충분한 학습자 활동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가 학습자의 삶과 좀 더 긴밀한 연관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모둠원들 간 특성이 가지는 차이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대화에 개입을 하여야 한다. 넷째, 논문과 같은 전문 자료를 학습자들이 읽어낼 수 있도록 소집단 내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료들에서 추출한 정보를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에 모둠원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and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class was designed ‘writing from sources’ for second grade in high school by the researcher and school librarian teache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proceeded as follows. Initially, students in the small-group chose one among ten topics provided from the researcher and were educated how to use source from the school librarian teacher. Then, they were actively searching sources and extracting proper informations. Finally, they wrote a report together from sources.
    By observatio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people who instructed and people who was instructed. And they appealed a shortage of time, too much sources, hard to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like academic essays. Reached the writing a report, a single student integrated extracted sources which is not well organized.
    The way of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were found some characteristics. A student judged the abilities of the group members as their learning level included himself. Then, the members of group were distinguished people who instruct and people who were instructed. Only for the purpose of an efficient task execution, a person who instructs became the leader. He assigned roles to the members and in some cases, excluded a member who had not ability to carry out task from an essential role. Also, students tended to not focus on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cy of sources. Instead, they preferred to make use of sources easy to access or cite. Efficiency is the best value of their activities. It might resulted from a single member of the group write a report from sources in a stage of excessive burdens for cognition. As a result, single member who instructed other members to do tasks had the difficulty understanding of context, made light of marking the sources and writing conventions.
    The study showed f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although in the limited time, classes should be guaranteed sufficient activity time for students. Second, writing tasks should be closely related with students’ lives. Third, teacher should intervene in students’ conversation for their taking note of their group members’ characteristics. Forth, classes should be prepared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through communicating each other in their small-group. Last, teachers should desig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make all group members take part in the process restructuring extracted information from 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