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에 의한 기본권 가해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고찰하며 - (State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in the case of fundamental rights violations by foreigners or foreign countries - An Analysis of the Decision of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6
20P 미리보기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에 의한 기본권 가해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고찰하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0권 / 2호 / 119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부하

    초록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이 국가영역 밖에 있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해 가해를 하는 경우, 국가는 기본권보호의무를 수행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해 헌법적 논의가 필요하다. 헌법상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제3자인 사인(私人)에 의한 사인(私人)의 기본권 가해라는 체계 속에서 이론정립되었지만,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이 국민의 기본권에 가해를 가하는 상황에서 기본권보호의무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립된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유럽인권재판소(EGMR)는 국외의 자국민에 대한 외국인의 가해시 자국민의 법익 보호 문제는 기본권보호의무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국가의 법률상 기본권보호수준에 달려있다고 판시하고 있다.
    외국 공권력이나 외국인에 의해 외국에 있는 자국민의 기본권이 가해를 받는 경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가 발동되는지 여부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기본권보호의무 적용상의 근본적 문제는 외국에서 발생하는 자국민의 기본권 가해 사건이 국가영역 밖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국가권력의 효력상 한계에 부딪힌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본권보호의무는 영역적(지리적) 제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국가영역 외에도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인정되고 국가는 기본권보호수단의 적용과 관련하여 법적 차원에서 효율적인 보호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국가영역 밖에 있는 자국민의 기본권이 가해받고 있는 경우라면, 속인주의에 근거하여 국가는 기본권보호의무를 지게 된다. 기본권보호의무론 체계에서 기본권 주체의 주관적 보호청구권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영역이라는 요소는 배제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Exercise of sovereignty means effective control of the exercise of state sovereignty and the exercise of extraterritorial force in the territory of another State. If the fundamental rights-bound sovereign employs civilian to fulfill its tasks, this does not exempt it from the fundamental rights commitment. However, the sovereign is subject to supervisory duties within the scope of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paradigm,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If there is a corresponding international agreement, and not even if its activity is approved or tolerated in the territory of the state, the foreign sovereign is at best bound by the fundamental rights applicable to national sovereignty.
    Since private actors are always the bearers of fundamental rights themselves, conflicting legal interests in every such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whose weighting and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s regularly the task of the legislator. Person of fundamental rights is considered vulnerable if either the impending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irreparable, the emerging development uncontrollable or the potential conflict between the fundamental rights persons involved is not autonomously regulated.
    Basically, the courts do not differentiate whether the private actor, who is to be attributed to the fundamental rights-threatening behavior, comes from domestic or abroad. It can therefore be concluded that the key to solving current challenges to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vis-à-vis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actors lies at the level of the law, not that of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If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against private threats is recognized in principle,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state is subject to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vis-à-vis a foreign state power acting on the domestic territory. For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to protect the actions of the state authority, however, is not the actual trigger, but the legal consequence of the constitutional protective effect. In the field of external fundamental rights-threatening behavior, the state would then only have to try to promote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from foreign states and foreign private persons through political appeals or international treaties. Basically, we will have to affirm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even in the light of the right of state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