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면부족이 직무소진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JD-R(직무요구-자원)모형 에서 수면부족, 직무만족, 직무소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Job Burnout and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Roles of Sleep Depriv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Burnout in the JD-R Model)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3.08
38P 미리보기
수면부족이 직무소진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JD-R(직무요구-자원)모형 에서 수면부족, 직무만족, 직무소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7권 / 3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임창희, 이승윤

    초록

    그간 수면부족은 경영학이 아닌 의학, 보건학 등 타분야에서 교대근무자나 야간 작업자들만 대상으로,그것도 제조업 근로자나 육체노동자들에만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일반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면부족이 직무소진이나 근로자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환경 변수와의 관계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해보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도구로써 그동안 직무환경과 종업원의 심리적 반응의 관계를 다룬 직무요구-자원(JD-R) 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즉 발전된 JD-R 모형에서는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개인의 자아효능감, 낙천성,자존심 등의 개인적 성격변수를 매개로 직무소진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정을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연구에서는 직무환경이 근로자의 심리적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정에서 수면부족이 어느 정도 매개역할을 한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그 영향은 남녀간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이론적 연구들을 바탕으로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변수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JD-R모형에서 주장하듯 직무요구는 소진에만 직무자원은 웰빙에만 서로 독립적으로 영향을미치는 과정이 아니라 수면과 직무만족은 소진을 통해 복합적으로 웰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수면부족의 부분적 매개역할과 남녀간의 영향력 차이도 다중 집단분석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연구의 발전적 확장과 개선을 위한 제언과 실무적 활용방안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Job burnout, job dissatisfaction, and poor mental health among workers have been found to be major reasons for job failure. Research focus, therefore, has been on elucidating the factors that cause work-related burnout and poor quality of life in organizations. Among the many causes, poor working conditions is considered as likely main causes of burnout and poor well-being. Thus, it becomes critic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workers' well-being.
    The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suggests that job characteristics have impact on employee well-being. More specifically, the model proposes that job demands are the main predictors of job strain while job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pre야ctors of work engagement.
    Drawing from the JD-R model, we propose that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nfluence employee well-being. In particular, we suggest sleep deprivation as a key mechanism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well-being.
    Our path equation model indicates that excessive job demands and enough job resources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job dissatisfaction and sleep deprivation,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poor mental well-being.
    Using a heterogeneous sample of 471 workers at diverse organizations, we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Our finding confirms the relationships from job demands to sleep deprivation and satisfaction, and from job resources to satisfaction. We further found strong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and satisfaction on burnout and well-being.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seemed stronger factors predicting burnout than job demands and sleep deprivation were.
    In addition, we conducted a multi-group path analysis to generate separate subgroup models of male and female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sleeping hours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o a greater extent for female workers than for male workers.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among job characteristics, sleep deprivation, burnout, and workers' mental well-being.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direc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