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리미엄 상영관 관람 현황 및 소비자 시장세분화 분석 (Analysis for Current Status of Consumer Visit to Premium Theater and Market Segmentati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6
12P 미리보기
프리미엄 상영관 관람 현황 및 소비자 시장세분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산업연구 / 20권 / 2호 / 73 ~ 84페이지
    · 저자명 : 윤혜원, 진현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형 영화관체인의 프리미엄 상영관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방문 현황 및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고, 재방문의도를 중심으로 시장세분화를 시도하였다. 시장세분화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목표변수는 관람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의 향후 재방문의도, 설명변수는 인구통계변수, 개인적 성향, 영화관 방문행태변수들을 사용하였다. 온라인설문에 접속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50대 성인 남녀 2,438명 중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 간 프리미엄관 경험이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방문행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보면, 20.5% 정도의 비율이 프리미엄관 관람 경험이 있으며, 평균 관람 횟수는 약 2.3회로 나타났다. 일반관과 비교하여 가족보다는 연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으며, 혼자 오는 관람객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반면 동료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프리미엄관 방문의 주된 이유는 ‘특별한 데이트’를 원하는 20대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연령대에서 ‘편안한 좌석에서 영화를 보기 위해’로 나타났다. 프리미엄관의 물리적 환경과 상영관별로 제공되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리미엄관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재방문의도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변수는 과시소비성향과 관여도로 나타났다. 인구통계변수와 영화관 방문행태변수를 이용하여 시장세분화를 위한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재방문의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그룹; 프리미엄관 표적세분시장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그룹; 향후 좀 더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전략이 필요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프리미엄관 관람행태, 만족도, 재방문의도를 분석하고, 소비자 세분시장 분류를 시도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프리미엄관 소비자 저변 확대 및 수요 촉진을 위한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onsumer visit to premium theaters of Korean major multiplexes chains and consumer satisfaction from experiencing it and attempts market segmentation of consumer group based on their intention to revisit. We used the decision tree model among data mining methodologies. The target variable is intention to revisit by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premium theaters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are their demographics, personal disposition, and movie theater visit behaviors. Of the 2,438 people in their 20s and 50s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accessed our online survey, 500 were answered to have experience of premium theaters within 2 year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Our results show that about 20.5% of people have experience of premium theater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 was 2.3 during the two yea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eater, share of couple visitors is higher than that of family-unit visitors, proportion of lone visitors is relatively lower and proportion of group visitors is relatively higher. The main reason for visiting premium screen is ‘to watch a movie in a comfortable seat’ for the rest of age groups except for those in their 20s who wanted ‘special dates.’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of premium theaters and of premium service provided by each theater was relatively high across-the-board.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that can classify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to revisit wer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nd personal involvement toward movie. We proceeded additional analysis for market segmentation in relation to the two variables using demographics and consumption behaviors in movie-theater to find the followings: a group that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to maintain their royalty to premium theater; a group not suitable as a target for premium theater visitors; a group that needs to stimulate additional intention to revisit. This study adds an additional layer of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To the best of authors’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analyse consumers’ visit behavio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oward premium theater. In addi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presents basic information for strategies for consumer promotion and market segm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산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