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The Constitutional Court’s Review on Judge-Made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1.12
48P 미리보기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헌법학연구 / 27권 / 4호 / 437 ~ 484페이지
    · 저자명 : 전상현

    초록

    구 조세감면규제법의 전부개정에 따라 폐지된 부칙조항을 과세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그러한 과세는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한다고 보아 ‘부칙조항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주문을 선고하였다. 이 결정은 한정위헌결정의 형식을 취하였지만, 그 결정의 내용은 법원의 유추적용, 즉 법형성에 대한 위헌결정이었다. 그동안 법률해석에 대한 위헌결정으로서의 한정위헌결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적 통제에 관한 논의는 부족했다.
    법관의 법형성은 사법작용의 한 부분으로서 헌법이 법원에 부여한 사법권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고, 법원의 헌법구속성에 의해서도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재판작용을 통해 법규범을 창설한다는 점에서 입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법관이 법률에 대한 구속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가능성도 있다. 법형성은 권력분립원리, 법치주의 원리와 같은 헌법적 한계 안에서만 행사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죄형법정주의와 조세법률주의와 같이 헌법의 명시적인 금지에 의해 제한된다.
    법관의 법형성은 규범통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는데, 17세기 영국 보통법원의 보넘 판결(Dr. Bonham’s Case)을 둘러싼 논의는 이 점을 잘 보여준다. 법형성이 규범통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은 법형성이 입법부의 권한 뿐 아니라 헌법재판소의 권한과도 충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헌이 의심되는 법률을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지 않고 법형성이라는 이름으로 법원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적용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의 우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해서도 헌법적 통제가 필요하고, 헌법해석의 통일성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가 필요하다.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방식은 재판소원이어야 하지만, 재판소원이 허용되지 않고 있는 현재로서는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절차를 통해 위헌법률심사의 방식으로 통제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통제방식은 법형성을 법률해석과 구별하지 않는 법원의 실무에 대응한 것이기도 하다. 헌법재판소가 법원의 법형성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근거는 헌법재판소가 법원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헌법이 사법권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judge-mad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While judge-made law belongs to the judicial power which is vested on the judiciary by the Constitution,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legislative power in that it creates a legal norm by judg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udges may evade the binding effect of statutes. Judge-made law is allowed within the limits of the constitution, such as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rule of law, and above all, it is bound by explicit prohibitions such as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and “no taxation without statutory law”.
    It is the Dr. Bonham's Case, which was decided on early seventeenth century by the British Court of Common Pleas, that shows that judge-made law sometimes functions as a judicial review. In the case, the Court of Common Pleas ruled that the common law will control act of parliament and adjudge it to be void when it being against common right and reason. This means judge-made law may conflict with the power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well as the powers of the legislative branch.
    The supremacy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the uni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s review on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as well as statutory interpretation of the ordinary courts. Though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judicial judgment is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It has not been allowed under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 choice but to review the judge-made law through the procedure for constitutional review of statutory laws. This is also in response to the practice of the ordinary courts that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judge-made law.
    It is not for the superior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e ordinary courts, but for the Constitution over the judicial pow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control the judge-made law and interpretation of laws by the ordinary cou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