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판 <소대성전>의 변모 양상과 의미 (The Transformation and Meaning of Jeonju edition Sodaeseong-je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10
39P 미리보기
완판 &lt;소대성전&gt;의 변모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9호 / 283 ~ 321페이지
    · 저자명 : 전상욱

    초록

    <소대성전>은 고소설 중에서 이른 시기에 생성되어 활발하게 유통된 작품이고, 이본의 수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에서 이본에 대한 이해와 선본에 대한 탐색이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채, 연구와 교육에서 완판 43장본을 대표적인 작품으로 인정하는 관행이 지속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제대로 검토되지 못했던 완판 40장본, 34장본을 포함하여 완판 <소대성전> 4종을 치밀하게 비교하여 이본 사이의 관계를 정리했다. 그 결과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 40장․34장본의 선행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했고, 이 공동모본을 축약하는 과정에서 40장본과 34장본이 출현했으며, 34장본을 번각 및 개각하여 36장본이 나타났고, 34장본과 36장본을 모두 참조하여 43장본이 마지막으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완판 <소대성전> 이본 비교를 통하여 현재 대표적인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43장본은 완판본 내에서 선본의 위치를 차지할 수 없고, 34장본에서 36장본을 거쳐 43장본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인식해야 하며, 40장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만 완판 <소대성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완판 <소대성전>에 한정해서 본다면, 당장은 완판 교합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소대성전> 전체로 범위를 확대한다면, 완판본은 방각본이라는 기본적인 속성상 교합본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선본의 역할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향후 <소대성전> 연구에서는 많은 필사본들 가운데 원본에 더 가까운 이본을 가려내는 작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Sodaesong-jeon is an early and actively circulated Korean classic novel, and the number of version is quite large. However, the practice of recognizing Jeonju edition 43-leaf version as a representative work continued in research and education, without thoroughly understanding and searching for version in advance researches. In this paper, we carefully compared four types of jeonju edition Sodaesong-jeon, including jeonju edition 40-leaf version and 34-leaf version, which have not been properly reviewed, As a result, we estimated that a pre-existing copy of the 40-leaf version and 34-leaf version existed. In the process of abbreviating this common Mobon, 40-leaf version and 34-leaf version appeared. 36-leaf version appeared in the duplication and remake of the 34-leaf version, and 40-leaf version created referring to both 34 and 36-leaf versions.
    The following facts can be found through comparison of jeonju edition Sodaesong- jeon. The 43-leaf version, currently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work, cannot take the position of Seonbon among the Jeonju edition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rom a 34-leaf version through a 36-leaf version to a 43-leaf version should be recognized. Only by actively utilizing the 40-leaf version can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Jeonju edition Sodaeseong-jeon be reached. Therefore, if we look only at jeonju edition Sodaeseong-jeon, I thought we need integrated text of jeonju edition for now. However, if the scope is extended to the entire Sodaesong-jeon, Jeonju edition is likely to fail to play the role of Seonbon, because it creates integrated text due to its basic nature as woodblock print. Therefore, in future Sodaeseong-jeon studi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riginal version among many manuscri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