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인권재판소의 공정한 균형 심사 (The Fair Balance Test of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8
33P 미리보기
유럽인권재판소의 공정한 균형 심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유럽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헌법연구 / 42호 / 65 ~ 97페이지
    · 저자명 : 이재홍

    초록

    유럽인권협약상 보장된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심사하는 유럽인권재판소의 심사 기준 중 과잉금지원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럽인권재판소의 과잉금지심사는 수평적 과잉금지심사로 분류되기 때문에 우리 헌법재판소의 과잉금지심사처럼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침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단계적으로 구별하여 차례로 심사하는 이른바 수직적 과잉금지심사와는 논증구조가 상이하다. 유럽인권재판소의 과잉금지심사에서는 우리 헌법재판소의 법익의 균형성 심사에 해당되는 공정한 균형 심사가 논증의 중심이자 핵심이 된다. 과잉금지원칙의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과잉금지원칙의 핵심은 이 정도의 권리 제한을 감수하면서까지 그 정도의 공익을 달성하는 것이 정당한지의 판단인데,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 법리에서는 공정한 균형 심사가 여기에 해당된다. 따라서 공정한 균형이 논증의 중심적 지위를 차지하는 논증구조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정당하다. 유럽인권재판소는 공정한 균형 심사를 함에 있어서 협약상 권리의 구체적 제한 정도와 회원국의 조치가 달성하려는 목적의 구체적 가치를 측정한 다음 양자를 비교형량 하는 논증구조를 취한다. 이 중 측정 단계에서는 유럽인권협약의 주요 가치와의 관련성뿐 아니라 사안별로 특징적인 각종 구체적 사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그 결과 협약상 권리나 회원국의 조치의 추상적인 중요성에 그치지 않고 그것의 구체적인 중요성을 판단한다. 이와 같은 측정 결과를 근거로 비교형량 단계에 나아가는 것이 전형적인 유럽인권재판소의 논증구조이다. 그 과정에서 국제재판소로서의 유럽인권재판소 특유의 법리인 평가재량 법리가 작동하나 논증 구조의 측면에서 형량 심사의 틀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법익의 균형성 판단을 생략하지 않지만, 분량이나 결론을 좌우하는 영향력 면에서 법익의 균형성 심사가 주된 기능을 하는 결정례는 드물다. 다만 최근에는 법익의 균형성 심사가 양적, 질적으로 충실한 결정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결정들은 과잉금지원칙의 이론적 측면에서보나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들과의 비교법적 측면에서 보나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portion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ase law of Europenan Court of Human Rights. The Court’s proportionality test is classified as a ‘horizontal’ proportionality test, setting it apart from the vertical proportionality test us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horizontal proportionality test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does not adhere to any particular order of assessment but instead focuses its reasoning on a fair balance test. The fair balance test is similar to the fourth prong of proportionality test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The essence of proportionality,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lies in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level of restriction on a right is worth being endured compared to the degree of benefits achieved by the actions of public authorities. In the jurisprudence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he fair balance test perform this balancing task. Henc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easoning structure, which places a fair balance at its core, is theoretically sound. In applying the fair balancing test,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onsiders not only the relevance to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but also various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case. This enables the Court to assess the concrete importance of the rights guaranteed by the Convention and the concrete value of the measures taken by member states, moving beyond their abstract value. Whil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pplies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in their assessment of the fair balance, the reasoning structure still remains within the framework of a balancing tes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lso considers the balance of interests, although decisions where this prong predominate are rar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recent decisions that demonstrate a dedicated commitment to the balance of interest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new trend is commendable, both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nd in comparison to the practice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럽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