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청소년의 소비자의사결정 단계별 구매행동분석과 영향요인 조사 및 소비자능력향상 방안 모색 (An analysis of purchase behavior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determinant factors on them and seeking strategies for upgrading consumer competenc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3.09
22P 미리보기
탈북청소년의 소비자의사결정 단계별 구매행동분석과 영향요인 조사 및 소비자능력향상 방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문화연구 / 16권 / 3호 / 263 ~ 284페이지
    · 저자명 : 허경옥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한거주 탈북청소년의 소비자로서의 구매행동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탈북청소년이 속한 가계의 경제적 현황, 소비자로서 탈북청소년의 소비자행동 현황을 조사하되, 특히 문제인식, 정보탐색, 대안평가, 구매, 구매후 평가 단계별로 탈북청소년들이 어떤 소비자구매행동을 취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경제생활만족, 삶 만족, 소비생활 자신감, 구매행동이 탈북청소년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의 주요 구매기준은 가격인 반면, 유행이나 상표는 중요한 구매기준이 아니었다. 구매후 불만이 발생한 경우 절반정도가 그냥 참고 넘어가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탈북청소년의 불만대응행동이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26세에서 30세 사이 연령, 남한내 대학 전공이 인문․사회전공이 아닌 경우, 경제적 이유로 탈북하지 않은 경우 경제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여성 탈북청소년, 연령이 26세부터 30세 또는 연령이 가장 높은 경우, 남한내 적응도가 높은 경우 삶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연령이 31세에서 35세 사이, 인문․사회전공 탈북청소년, 남한거주 년수가 오래된 경우, 서울이 아닌 곳에서 거주하는 경우, 경제적 이유로 탈북한 경우, 소비자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탈북청소년의 소비생활 자신감이 높았다. 셋째, 탈북여성, 인문․사회전공대학생, 가계소득이 51만원에서 100만원사이에 있는 경우, 남한 거주년수가 짧은 경우, 소비자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남한 적응도가 아주 적거나 높은 경우 유행추구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여성 탈북자, 연령이 낮은 경우, 인문․사회전공 탈북청소년, 가계소득이 51만원에서 75만원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남한 거주년 수가 적을수록, 탈북전 학력이 낮은 경우, 탈북전 농촌에서 거주한 경우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탈북여성, 연령이 26세에서 30세인 경우, 동거가족이 없는 경우, 인문․사회전공대학생,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남한 거주년 수가 5년이하인 경우, 서울이 아닌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합리적 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purchasing behavior in South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researched the following topics: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alternate assessment, purchase, and evaluation after purchase. Also, the research took into consideration the effects of each individual’s level of satisfaction in life, their understanding of the market economy, their confidence in consumption life, and their buying behavior. The primary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main determining factor when making a purchase was price while trend or name-brand was not. After purchasing, research showed more than half of consumers disregarding complaints after having received complaints on the item that was purchased. This showed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re passive in regards to complaining behaviors. Second, individuals between the ages of 26 and 30 who were not majoring in social and human sciences and who did not flee to South Korea due to economic reasons exhibi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economic life. Females between the ages of 26 and 30 who displayed a high level of cultural fitness also exhibi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life. Meanwhile, educated individuals between the ages of 31 and 35 who were majoring in social and human sciences and who fled a number of years prior due to economic hardship to an area of South Korea other than Seoul exhibited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heir consumption life. Third, less educated females making around 510,000-1,000,000 Won and majoring in social and human sciences who recently fled to South Korea exhibited a high level of orientation with the current trends. Finally, young, less educated females majoring in social and human sciences with income lower or higher than 510,000-750,000 Won who recently fled to South Korea and who may have lived in a farming village in North Korea exhibited a high level of impulse buying tendencies. Meanwhile, low-income, single females between the ages of 26 and 30 living in an area of South Korea other than Seoul for less than 5 years and majoring in social and human sciences exhibited a high level of rationality in their purchasing behav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