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Consumer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3
22P 미리보기
소비자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16권 / 1호 / 163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진채, 정순희

    초록

    소비자교육의 범주는 대상별, 유형별, 주제별로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그동안 소비자교육의 효과 측정은 단편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소비자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이면서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1,921편의 학술 연구 중 18편의 연구에서 추출된 121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R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소비자교육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전체평균효과 크기는 0.38로 중간을 약간 넘는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역량의 하위변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지식(0.33), 기능(0.30), 태도(0.22)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의 주제별로 평균효과 크기를 측정한 결과, 친환경교육(0.56), 윤리교육(0.39), 금융교육(0.29), 소비자교육(0.19)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의 대상별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유아(0.56), 초등학생(0.56), 청소년(0.19), 대학생(0.17), 성인(0.15)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교육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소비자교육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향후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보다 기능 변화를 목표로 한 프로그램과 교육 방법들을 실시하고, 근본적으로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시행이 요구된다. 또한 소비자교육의 주제를 광범위하게 하기보다는 친환경교육, 윤리교육, 금융교육 등으로 세분화하여 주제별로 집중적인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Consumer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by subject (infant, child, adolescent, adult, elderly, vulnerable class), type (home, in school, out of school), and subject (economic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safety education, etc.). Because of this extensive diversity, measuring of consumer education has been fragmented, and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using different scales and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consumer education data through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guidelines, 98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research trends. Among these, 121 cases were extracted from 18 studies and used for the final meta-analysi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to measure the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0.38, slightly over the midd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which are sub-variables of consumer competency, it showed that the impact was in order of knowledge (0.33), skill (0.30), and attitude (0.22). This means that current consumer education has a moderate impact on knowledge transfer and behavioral change. In the future,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cusing on actual behavior change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he impact of education on attitudes showed that attitudes once formed were difficult to change.
    As a result of testing for the average effect size by subjects of consumer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0.56), ethics education (0.39), financial education (0.29), and comprehensive consumer education (0.19) were found. Meta-ANOV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Q = 34.03, df = 3, p<0.0001). It can be understood that subdividing the subject of consumer education into environmental education, ethics education, and financial education is effective in terms of strengthening consumer competency.
    This study measured the impact on consumer education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by subject and class.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has established ground level to make direction to increase meaningful consumer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