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향의 은유적 표현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목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taphoric Expression on Consumer Evalu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Priming)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2.09
17P 미리보기
방향의 은유적 표현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목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7권 / 3호 / 145 ~ 161페이지
    · 저자명 : 조성완, 김희진, 윤성아

    초록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가 “거리”이다. 같은 제품이나 상점이라면, 소비자들은 가깝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 것을, 멀고 접근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것보다 선호한다. 기존의 심리학, 마케팅연구들은 사람의 “거리”에 대한 인지 (심리적 거리)는 비단 객관적인 물리적 거리뿐 아니라, 시간적, 사회적 거리에 의해서도 결정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흐름의 일환으로, Nelson과 Simmons(2009)의 최근 연구는 소비자의 거리에 대한 인식이 “은유적 표현”(metaphoric expression)에 의해서도 결정됨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사람들은 북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위로 올라간다’는 은유적 의미로 해석하여, 북쪽에 위치한 상점으로 가는 데 동일 거리의 남쪽에 위치한 상점에 가는 것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오류는 북쪽 상점에 대한 방문 및 구매의도를 저하시켰다. 본 연구는 개인에게 순간적으로 부여된 상향적 목표 (예: 직장에서의 프로모션을 생각하게 만드는 것)가 어떻게 이러한 은유적 표현 효과를 완화 또는 반전시키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는 상향목표가 제시된 소비자들은 북행을 남행보다 더 가깝고 쉽게 인지하여, 북쪽에 위치한 제품을 더 선호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상향목표(upward goal)가 활성화된 소비자들은 상향이동에 드는 시간/노력의 비용을 짧게 지각하고 상향이동에 대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상향이동을 수월하게(fluently) 느껴, 은유적 표현의 효과가 반전 또는 완화될 것 이라고 생각한다. 이들 가설은 두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실험 1에서는 피험자의 목표방향이 상향(upward)일 경우, 피험자들은 북쪽 대상물에 도달 시간이 같은 거리에 위치한 남쪽 대상물에 비해 짧을 것으로 예측하여 상향목표가 예열되지 않은 피험자들(즉, Nelson의 실험)과 반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2 에서는 매장 내 “남”과 “북”에 위치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소비자 목적예열(goal priming)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어 본 연구의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Consumer evaluation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inherent quality of the marketing stimuli, but also by the contextual factors surrounding that stimuli. One such important factor is "physical proximity", that is, how far or close the stimuli is located from a consumer. In general, consumer prefers a product or a store that he or she has an easy access to. Past studies in psychology and marketing show that human perception of "distance"(i.e., psychological distance) is a function not only of the actual physical proximity, but also of the temporal and social distance. Extending this stream of research, Nelson and Simmons (2009) demonstrated that metaphoric expression can determine consumer's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n turn affects the subsequent evaluation of an object. In the study, people mistakenly believing that travel to "north" (vs. south) takes longer time and more efforts show less intention to visit stores located in north versus south.
    The current research proposes and shows the moderating effect of temporally accessible goal in the previously demonstrated metaphoric expression of cardinal direction on consumer evaluation. In particular, we hypothesize that situationally primed upward goal (e. g., thinking about their future promotion in the workplace) makes people perceive the travel to north (vs. south) easier, leading them to prefer a product located in north than the same product located in south. We expect that the following three mechanisms are responsible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upward goal. First, upward goal evokes a greater motivation for upward movement, rendering upward travel seem shorter and easier. Second, the upward goal leads to increases in the perceived values attached to upward movement. Third, the escalation goal makes upward movement psychologically more fluent, causing people underestimate the travel time.
    The hypotheses were tested in two laboratory studies. In study 1,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map showing a hypothetical city located either north or south to their current place. Then they estimated the time, efforts, and difficulty of traveling to the designated place. Prior to the estimation, a half of the participants was given a chance to think about the process which they have to go through in order to promote to the top rank in their desired work place (upward goal priming condition). The other half of the participants was given a filler task (control condition). The estimation of time, efforts, and difficulty of moving to north and south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goal priming condition. In the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estimated the travel to the north (vs. south) longer, more effortful and difficult. However, as expected, the opposite pattern emerged in the upward goal priming condition.
    Study 2 shows the marketing implication of our research by testing the hypothesis in a consumer purchase setting. In particular, we attempted to show tha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is a simultaneous function of the cardinal direction of the product and a primed direction of the goal. In this study, we compared participants' willingness to purchase a product when it is located in north versus south in a store and when participants are primed with upward goal versus no such goal. The results show partial support for our hypothesis. When there was no goal priming, participants were more inclined to purchase the product located in south versus north. However, although the preference for south versus north was attenuated by primed goal (i. e, people equally liked south and north), there was no overriding effect of goal priming in purchase intention.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that investigates the potential condition under which the effect of metaphoric expression on consumer evaluation is moderated. Also, we add to the goal priming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nonconscious pursuit of goal in a domain irrelevant to the target evaluation can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consumer choice. On a practical side, we suggest that marketing managers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ir marke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selective use of upward framing of message for consumers with dominant upward goal motivation. Also, marketers can expect an increase in the sales of products associated with hi-end status (e.g., luxury product) through a strategic placement in a location of the store that matches with the symbolic meanings implicated by the product (e.g., top flo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케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