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기생, 미정의 소수자 (Kisaeng in Modern Era, Unidentifiable Minor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4.03
34P 미리보기
근대기생, 미정의 소수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64호 / 91 ~ 124페이지
    · 저자명 : 권도희

    초록

    20세기 기생은 법적, 제도적으로 창기와 무관했지만 경찰 권력은 기생의 몸에 대한 통제를 제도적으로 관철시킴으로써 기생의 역사적 정체를 왜곡시켰다. 1918년 이후 일제는 몸에 대한 통제에 더하여 풍속 단속과 수시 단속 조항을 추가했고, 이를 통해 기생들의 집단적 공연활동을 금지시켰고 기생조직 간의 통폐합을 합법화함으로써 기생의 법적 지위는 약화되었다. 그러나 일제가 끊임없이 기생을 억압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산업의 영역에서는 기생들이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끊임없이 만들어졌다. 기생들은 가무의 정통성을 강화하거나 발전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대담한 도전과 다양한 공연물을 계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자본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상황은 기생이 문화산업에서 다른 공연집단보다 유리한 위치에 서게 만들었고, 사회적 성공의 발판이 되었다. 그러나 공연예술계에서의 성공은 보장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기생들은 경쟁을 치러야했다.
    기생계의 경쟁 양상은 기생계의 상황과 문화산업의 구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1902년 극장 흥행이 시작될 때부터 1938년까지 조선에 대중예술이 처음 등장하여 큰 무리 없이 성장하던 시기에 기생이 활동하면서 대중예술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대중 예술계는 미디어와 자본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변화했기 때문에 기생들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기생조직을 십분 활용했다. 기생조직은 일제가 강제와 수탈 그리고 감시와 억압에 유리하도록 만든 장치였다. 그러나 일제가 조직의 구성과 운영의 세부까지 관여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기생조직은 기생의 권리와 성공을 위해 운용될 수 있었다. 기생조직은 일상적으로는 문화산업에 인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기생간의 공존과 번영을 도모했고,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법적 강제와 사회적 압박에 대항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 글을 통해 20세기 기생의 정체는 전근대 기생과 다름이 분명히 드러났고, 나아가 직관적으로 소수자로 평가하기 보다는 근대 혹은 식민지 조선의 여러 제도와 문화 속에서 이해되어야함을 알게 되었다.

    영어초록

    Kisaeng(기생) was the professional performer on music, dance and drama in the 20th century. They are not prostitutes in modern era. Nevertheless, the body of Kisaeng was noticed as prostitutes by the police force related to Japan since the early the 1900s. And Kisaeng was governed as Chakbu in Japanese colonial law from 1916. Furthermore Japanese colonial police prohibited performing of many Kisaeng organizations in 1918, tried to aim at tax about their income before the 1920s, and carried out to merge them into three organizations in 1935.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Kisaeng had be forced to accept the one-sided forced legally. In this point it could be called they are legal minority.
    However, despite the Japanese colonial police force constantly suppressed Kisaeng, they had many opportunities to social success in performing arts world on popular culture. Kisaeng not only maintained or developed the tradition of music and dance but also experimentally and creatively performed new works and even drama which was not permitted to them ever. For example they performed the prohibited works for women (mask dance, funeral performance, drama with reality and etc.) Moreover, new style of performances (revue, dance, Engka songs, etc.) were accepted by Kisaeng. From 1902 to the mid-1930s their talents and performances were the focus of the public capital in popular culture. The size of the capital expanded, their success were as much. These were the foundation of resistance of Kisaeng to Japanese colonial police force and social limits.
    However, it was not always guaranteed to achieve for Kisaengs in the performing arts world. Kisaeng had to take advantage of their organizations. Although Kisaeng organization became a unit of exploit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t used to mediate the conflict between legal oppression and social success. And recording companies encouraged them to develop their individualities. So it is not easy to say Kisaeng would be minority. As above it is right that Kisaeng would be the weak legally. On the contrast in so far as they had led popular culture, they wouldn't be understood as a social minority. It could be said that they are unidentifiable min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