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인권재판소 ‘판단의 여지’(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수자 인권 보장과 지역인권재판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i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Jurisprudence: Rights of Social Minorities and the Role of a Regional Human Rights Court)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12
70P 미리보기
유럽인권재판소 ‘판단의 여지’(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수자 인권 보장과 지역인권재판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권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권연구 / 6권 / 2호 / 1 ~ 70페이지
    · 저자명 : 신윤진

    초록

    유럽인권재판소는 당사국의 유럽인권협약 위반 여부를 심사함에 있 어 ‘판단의 여지’(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을 통해 당사국 정부 가 협약의 해석과 적용에 대하여 넓은 판단여지를 가진다는 이유로 문제된 차별행위나 권리제한조치가 정당하다고 보는 판결을 다수의 사안에서 내려오고 있다. 유럽인권재판소는 사생활의 자유, 사상・양 심・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집회・결사의 자유 등 국제적으로 그 제 한에 대하여 엄격한 심사기준이 확립된 영역에 해당 독트린을 적용하 고있다. 재판소는문제된사안이해당사회의도덕, 종교, 문화와밀 접하게 연관되어 있거나 사안의 쟁점에 대하여 협약 당사국들 사이에 통일된 입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개별 국가에 대하여 광범위한 판단의 여지를 인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재판소는 이와 같은 해석태 도의 일반적 근거로서 보충성의 원칙, 국내 기관이 인권해석에 있어 국제 재판소보다 원칙적으로 우월하다는 전제, 당사국의 주권과 민주 주의에대한존중등을제시하고있다. 이와함께, 판결의결론을둘 러싼 당사국들의 저항이나 갈등을 방지하여 재판소의 권위를 확보하 고 유럽인권협약체계의 안정적 운영을 도모한다는 정치적 고려도 중 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고려요소와 근거사유들을 바탕으로 적용되는 판단의 여지 독트린은 유럽인권재판소의 심사기준이 ‘다수의 선호’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한 사회 내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인권침해행위에 대한 정당화를 보다 용이하게 만든다. 판단의 여지 독트린의 현재와 같은 적용방식은 국내외 정치 적 요소의 압력으로부터 독립되어 보편적 인권원칙을 일관되게 적용 하고 소수자의 인권을 효과적으로 보장해야 할 지역인권재판소의 역 할에 역행한다. 또한 인권 주체가 아닌 국가를 중심으로 인권 사안에 접근하여 인권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를 왜곡하고 진정한 특수성 의 존중을 어렵게 만든다. 나아가 해당 독트린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하여 비례의 원칙에 기반한 심사가 형해화되면서 법치주의에도 위 협을가져올수있다. 그간판단의여지독트린적용시주요하게고 려되어 왔던 요소들 중 부당한 고려요소들은 배제하고, 구체적 맥락 에 따라 고려의 필요성이 있는 요소들은 비례의 원칙에 기반한 심사 로 포섭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된 인권심사기준을 확립,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as habitually applied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granting states parties wide discretion to interpret the provisions and elements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with respect to rights restrictions. The Court has applied this doctrine mainly in areas of essential liberty rights, whose restrictions deserve a stricter standard of review. A wider margin of appreciation has been recognized for states in cases where moral, religious or cultural elements in a given society are deemed to be closely engaged or where there is no European consensus on the matter at hand. General grounds provided by the Court for the application of the doctrine include: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assumption that the state party is in a better position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human rights cases compared to international judges, and respect for state sovereignty and democratic processes. Political considerations on the part of the Court to prevent conflict with states parties, secure the authority of the Court and maintain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Convention system also play a crucial role.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based on these elements and considerations, is used to easily justify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minority groups and individuals in society, as the doctrine tends to drive the Court’s review to uphold majoritarian preferences rather than universal human rights principles. The current use of the doctrine goes against the expected role of the regional human rights court to implement human rights principles coherently and independently of political pressure from within and outside individual states. It also dist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human rights and hinders the realization of genuine values of particularity in human rights cases. Wide use of the doctrine has also jeopardized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the rule of law. The Court needs to cease considering improper factors that it has invoked when applying the doctrine, and should instead establish a coherent and systematic adjudication standard, based on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that incorporates elements necessary for a concrete and contextualized rights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