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지향성 중심의 의류 치수 및 표기 소비자문제 및 관련 표준 현황 (Consumer-Oriented Clothing Dimensions and Marking Issues and Related Standard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0.09
16P 미리보기
소비자지향성 중심의 의류 치수 및 표기 소비자문제 및 관련 표준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수록지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 / 10권 / 3호 / 73 ~ 88페이지
    · 저자명 : 허경옥, 박신영

    초록

    최근 의류치수 표기 및 호칭에 대한 소비자불만이 누적되고 있고 혼란이 계속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의류치수 및 치수 표기 현황 그리고 이와 관련한 소비자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의류치수 및 치수 표기 방법 관련 국내외 표준 현황을 파악하였다.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의류치수 표준및 치수 표기방법 등과 관련한 표준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 논의를 정리 및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술표준원은 의류치수 관련 국가표준(예: 여성의류, KS K 0051)을 정해두고 있으나 아직도 과거오래전 사용하던 S, M, L 또는 55, 66, free 사이즈 등의 치수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의류치수 호칭사용 환경에서 표시된 치수나 호칭이 실제 의류의 크기와 다르고, 제조사 또는 브랜드마다 서로 다른 치수체계나호칭을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혼란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의류치수 정보제공 및 및 사업자와 소비자간의사소통 관련 소비자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둘째, 향후 의류치수 관련 체계 개발 및 표기방법 등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여러 제안을 하였다. 무엇보다 소비자선호를 충분히 반영하고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단순하면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의류치수 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의류치수 표기에서는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ISO 의 픽토그램이나 그림 등의 정보를 추가시키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입의류 치수의 한국화 또는 한국형 치수로의 번역․전환 등이 필요하고 국제표준 무대에서 한국의 의류치수 표준 활동을 적극 추진하여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변화하는 한국인 체형 반영, 키나 몸무게 등 여러 측면에서의 특수 체형의 치수표준 개발, 노인, 청소년, 장애인 등 다양한 소비자들을 위한 의류치수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Recently, consumer complaints about clothing dimensions and titles are accumulating and confusion continu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lothing dimensions and dimensions marking and related consumer problems and discussed ways to solve them.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clothing dimensions and methods of marking dimension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n this study, basic discussions necessa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tandards related to clothing dimension standards and methods of marking dimensions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The summary and summary of this research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tandards has established 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clothing dimensions (e.g., women's clothing, KS K 0051), but still uses the designation of dimensions such as S, M, L or 55, 66, free size, which were used a long time ago. In such an environment where the clothing dimensions are used, the displayed dimensions or names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clothing size, and different dimensional systems or names are used for each manufacturer or brand, leading to constant consumer confusion. In addition, consumer problem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clothing dimens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business operators and consumers continue.
    Second, this study made several proposals in relation to the future clothing dimension related system development and marking method. Above all,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to a standardized clothing dimension system that fully reflects consumer preferences and is simple yet easily recognizable to meet the consumer's eye level. In clothing dimension not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ding information such as ISO pictograms or pictures that consumers can easily recognize.
    Third, it is necessary to convert or convert imported clothing into Korean or Korean-style dimensions, and to play a leading role by actively promoting Korean clothing dimension standards activitie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tage.
    Fourth,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nging body shape of Koreans, to develop a dimensional standard for special body typ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height and weight, and to develop a clothing dimension system for various consumers such as the elderly, adolescents, and the disab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