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의 상거소(常居所, Habitual Residence)유럽연합의 논의를 중심으로 (Habitual Residence of the Child:Recent Issues in the EU)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9.06
35P 미리보기
아동의 상거소(常居所, Habitual Residence)유럽연합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25권 / 1호 / 277 ~ 311페이지
    · 저자명 : 장지용

    초록

    상거소(常居所, Habitual Residence)는 속인법 결정에 관하여 대륙법계 국가의 국적주의와 보통법계 국가의 주소지법주의를 절충하기 위하여 만든 연결점이다. 상거소는 헤이그국제사법회의(HCCH)에서 만들어진 헤이그협약에 주로 사용되는 개념인데,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준거법 및 관할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헤이그협약은 상거소를 순수한 사실상의 개념으로 상정하여 정의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상거소가 사실상 개념이라고 하더라도 주관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아동의 경우 부모의 의사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상거소의 구성요소로 실제 거주, 거주기간과 계속성, 거주 의사를 들고 있는데, 상거소에서의 거주 의사는 사실에 중점을 둔 현재의 약한 의사라고 설명된다. 하지만 거주의사라는 주관적 요소가 강할수록 상거소를 순수한 사실상 개념으로 정한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
    아동의 경우 아동의 주관적 요소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객관적 요소나 부모의 의사에 의존하게 된다. 부모의사의 고려 정도에 관하여 부모의사 기준설(parental intention approach), 아동 중심설(child-centered approach), 부모의 의사도 사회적, 가족적 환경과의 결합을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로 파악하는 혼합설(hybrid approach)이 있는데 EU사법재판소는 혼합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영국 대법원도 2013년 혼합설로 견해를 변경하였다. 아동 자신의 주관적 요소는 주요 요소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성장한 아동의 경우 본인의 심리상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국 대법원도 어느 정도 성장한 아동의 경우 독립적인 심리상태도 고려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아동의 실존(presence)이 필수 요건인지에 관하여 영국 대법원, EU사법재판소는 이를 긍정하여 부모가 합의하였더라고 갓 태어난 아이가 부모의 상거소에서 거주한 적이 없다면 상거소를 추취득할 수 없다고 본 반면, 프랑스 최고법원은 법적 접근법을 취하여 상거소 취득을 긍정한 바 있다. 영국 대법원은 판결에 따라 아동의 거주가 이전된 경우 추후 그 판결이 취소되더라도 상거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한 반면 EU사법재판소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상거소는 사실적 개념이므로 신생아의 상거소 결정에 아동의 실존이 요구되고, 상거소 취득에 요구되는 기간도 성인보다는 단기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동, 특히 신생아의 경우 거주지가 부모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결정되므로 사실적 요소만을 강조할 경우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반하는 불합리한 결론에 이를 수 있고, 임신한 모가 일방적으로 다른 나라로 가서 아동을 출산할 경우 신생아는 헤이그아동탈취협약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현존하는 장소와 아동 사이에 실질적인 가족적, 사회적 관련성이 인정되지 못할 경우 신생아에게는 그 어느 곳에도 상거소가 존재하지 않아 1인 1상거소 원칙에 반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부모의 의사나 아동의 실존이 문제되는 복잡한 사안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나, 이 글을 계기로 상거소 전반 및 아동의 상거소에 대한 논의가 촉진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한 이론이 정립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Habitual Residence is a connecting factor which is elaborated to harmonize and compromise the nationality in civil law countries and the domicile in common countries. Habitual Residence is employed and commonly used in the Hague Conventions of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HCCH), which is now widely used as a connecting factor for determining both jurisdiction and applicable law.
    The Hague Conventions do not define the notion as they anticipated the habitual residence as a purely factual notion. Even if the it is a factual notion, it can include subjective elements,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It is explained that the factors to decide habitual residence contains actual residence, continuity of stay, and settled purpose, and the settled purpose is described as a weak animus focused on facts. However, the stronger the subjective factor of the habitual residence, the weaker the factual nature of the notion should be.
    As it is difficult to find children’s perception, it depends on the objective factor or the intention of the parent. There are 3 approaches, parental intention approach, the child-centered approach, and the hybrid approach, which sees the parent's intention a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The CJEU takes a mixed approach, and the UK Supreme Court has also changed its view to a hybrid model in 2013. Although the child’s perception is not a major factor, the adolescent child’s state of mi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UK Supreme Court also accepted that an adolescent child’s state of mind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his/her degree of integration. UK Supreme Court and CJEU found that presence of the child is a necessary precondition and a new-born baby cannot be habitually resident in a country where he/she has never been while the French Cour de cassation took a legal approach and found that the baby was resident in the US in a case the child had been born in France. The UK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habitual residence should not be lost even though the decision permitting a child to live in a country is overturned, while the CJEU ruled that the pending appeal should be considered.
    Since the habitual residence is a factual concept, the physical presence of a child is required and the length of stay for a newborn baby to be habitually resident should be shorter than that of adults. However, in the case of children, especially newborn babies, as the habitual residence is unilaterally determined by the parents, factual child-centric model could lead to unreasonable conclusions against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f the pregnant mother unilaterally goes to another country and gives birth there, the newborn cannot be protected by the Hague Abduction Convention as there is no removal of child. In addition, if there is no real family or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place and the child, there is no habitual residence of the newborn.
    In Korea, there seems to be no complicated case in which the existence of parents' intention or the child’s presence was in question, but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help to discuss the habitual residence in general and for the child and deepen the theories on the habitual res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