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친화적인 금융소비자 피해구제 -대규모 불완전판매에 대한 소비자 피해구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Consumer Friendly Financial Consumer Redress -A Comparative Case Study on Consumer Redress in Large Scale Mis-selling Scandal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8.09
41P 미리보기
소비자친화적인 금융소비자 피해구제 -대규모 불완전판매에 대한 소비자 피해구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법연구 / 32권 / 3호 / 317 ~ 357페이지
    · 저자명 : 허유경

    초록

    금융거래 환경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급변하면서 금융 관련 소비자 피해의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 다룰 채무면제·유예상품의 불완전판매나 카드슈랑스 불완전판매 사례와 같이, 텔레마케팅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들에게 금융상품의 내용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판매함으로써 대규모 소비자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기존에 금융소비자의 피해구제를 위하여 활용할 수 있었던 법제도인 민사소송과 금융분쟁조정 제도는,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피해 사례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대규모 금융소비자 피해의 구제 방안의 경우 이를 국내에서 시행할 마땅한 법적근거가 없다.
    외국에서는 신용카드 부가상품(Credit Card Add-On Products, 미국 사례) 또는 지급보증보험(Payment Protection Insurance, 영국 사례)의 불완전판매로 인하여 대규모 금융피해가 발생한 사안에서, 금융회사가 고객 계좌에 직접 환급하거나,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피해사실을 알리는 등(미국의 동의명령 제도, 영국의 피해구제계획명령 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피해구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외국에서는 명시적인 법적 근거와 감독기관이 정한 절차 및 기준, 그리고 그 감독에 따라 피해구제가 엄정하고 투명하게 운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도 이러한 외국 사례를 참고하여 금융소비자보호기본법(안)에 “금융소비자피해보상계획명령”과 같은 소비자친화적인 피해구제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has led to the rise of non-face-to- face financial transactions, which has in turn, created a possibility of more diverse consumer harm. This study points to wide-spread consumer harm cases such as mis-selling scandals of debt-cancellation-debt-suspention products and ‘cardsurance’ sales by credit card companies where financial companies mis-sold financial products to consumers by misrepresenting the terms and conditions of such products. While we expect the uprise of similar cases of widespread consumer harm in the future, existing current law is ill-suited to amend these types of harm because they are limited to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means such as litigation and financial dispute resolution systems. Furthermore, (unlike certain foreign jurisdictions studied in this case study) Korean national laws lack the explicit legal grounds to mandate financial companies to reimburse consumers in cases of widespread consumer harm. Widespread mis-selling is not a phenomenon exclusive to Korea. In the United States, widespread mis-selling of credit card add-on products called the attention of the CFPB, while in the United Kingdom, mis-selling of payment protection insurance has also caused the FSA/FCA to perform drastic measures for consumer redress of these products. Notably, in these two nations consumer redress in cases of widepspread financial harm are don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Financial companies were required by their financial authorities to reimburse directly to the consumers of the financial harm caused by mis-selling (in the U.S. by way of consent order), or to notify their consumers of the possibility of financial harm caused by mis-selling (in the U.K. by way of PPI consumer redress schemes).
    Most importantly, in the U.S. and the U.K., consumer redress schemes are imposed and operated by explicit legal mandates, guidelines and procedures promulgated by financial authorities, and are closely supervised by financial authoriti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Bill which is submitted to the Korean legislature should include new provisions on consumer-friendly consumer redress schemes which are modeled after these foreign exa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