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Judicial Review of the Public Election Law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12
31P 미리보기
Judicial Review of the Public Election Law in the Republic of Korea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아세아 / 23권 / 4호 / 48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우영

    초록

    The public election law and system of a nation for electing representatives has the fundamental constitutional significance as a mechanism of institutionalizing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onstitution and the Public Election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set forth the free election and freedom in election campaign a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ublic election law and system of the nation, with individual statutory provisions regulating specific aspects of the public election as the exceptions. However, since the statutory revision to the integrated election law of the Public Election Act in 1994 from diverse statutes separately regulating different types of public elections, through revisions on more than 60 occasions, the Korean Public Election Act contains approximately 60 individual statutory provisions regulating particular aspects of the public election and limiting election campaign activities in terms of the persons who may conduct such activities, the time period permitted for them and the permissible methods of election campaign activities. Regulations on election campaign activities have incrementally increased since the 1994 rev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8 has proactively reviewed the constitutionality of various aspects of public election law of Korea, primarily through the mechanism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of constitutionality review of the statute. Wherea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aken activist positions in areas such as electoral district reapportionment an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leading to institutional changes such as the one person two votes system,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aken relatively passive positions i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ory provisions regulating election campaign activities. Securing freedom and fairness in administering public elections is the core value and purpose in the public election law and system of Korea. The 1988 Constitution has in many regards normalized the nation’s de jure and de facto separation of powers structure by strengthening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vis--vis the president and the executive branch and through the authority to monitor and control the incumbent powers of and in the government.
    The election law and system of Korea have been structured to sever the exercise of undue influence of incumbent powers in public elections held during their incumbency. Korea’s idiosyncratic constitutional-political experience of violations of relevant laws, excessive competition, corruption and lack of fairness in public election contexts offers at least partial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election law and positions take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does not jus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of Korean election law and Constitutional Court to increasingly limit election campaign activities in public elections which ultimately undermines the freedom and fairness of the public election law and system. Legislative efforts to revise the statute to create a more balanced and sufficient guarantee of freedom and fairness in public elec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jurisprudentially fine-tuned and constitutionally persuasive review standards and their consistent applica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