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식(蘇軾, 1037-1101)의 회화론과 근대기 중국미술사 (Su Shi(蘇軾, 1037-1101)’s Painting Theory and the Art History of Modern Chin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3
30P 미리보기
소식(蘇軾, 1037-1101)의 회화론과 근대기 중국미술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9권 / 309호 / 179 ~ 208페이지
    · 저자명 : 정수진

    초록

    20세기 초의 중국에서는 서구로부터 미술사라는 학문이 도입됨에 따라 중국회화사 관련 논저의편찬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 시기 미술사학자 가운데 텅구(滕固, 1901-1941)는 현대적 의미의중국미술사를 선구적으로 저술한 인물이다. 본 논문은 텅구의 글 「미술평론가로서의 소동파(Su Tung P’o als Kunstkritiker)」(1932)를 분석하여 그가 중국회화사에서의 소식(蘇軾, 호는 東坡居士, 1037-1101)의의미를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통하여 텅구가 ‘근대적 주체’로서 중국회화사를어떻게 정립하려 하였는지도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근대기에는 전통문화에 대한 비판과 옹호가 공존하며 미술계에서도 문인화에 대한 재평가가다양한 시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국미술사가 서술되기 시작한 20세기 초반에 문인화의 개념을태동시킨 인물인 소식의 회화관을 깊이 있게 다룬 사례는 드물다. 이러한 점에서 이글은 중국회화사를보는 텅구의 통찰력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소식의 회화관에 대한 텅구의 새로운 해석을 담고 있다는점에서 주목된다. 텅구는 동시기 서구의 사조인 감정이입설, 미술평론가라는 개념, 유미주의 등을대입하여 소식을 재평가함으로써 서구의 보편적 미술사라는 범주에 중국회화사를 이입시키려 하였다.
    이는 전통의 수호와 서구화의 추진이라는 근대기 동아시아 지식인의 양가적(兩價的) 가치관을 보여주는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early 20th century China, the publications o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burgeon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ield of art history from the West. Teng Gu (滕固, 1901-1941), among other Chinese art historians of this era, played a pioneering role in writing the history of Chinese art from a modern perspective.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Teng Gu’s “Su Tung P’o als Kunstkritiker” (1932) to bring to light his interpretation of the significance of Su Shi (蘇軾, 1037- 1101)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Through this, it will also be possible to understand how Teng Gu, as ‘a modern subject,’ tried to establish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In modern times, the criticism and advocacy of traditional culture coexisted in China, and accordingly the literati paintings were also reevaluated in the art world. Su Shi’s writings, however, was rarely studied despite his contribution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respect, the Teng Gu’s text is notable in that it not only recognizes Su Shi’s insight into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but also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of Su Shi’s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By reexamining Su Shi’s work through the lens of contemporary Western thoughts, including the theory of empathy, art criticism, and aestheticism, Teng Gu aimed to incorporate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into the “universal scope of Western art history.” The undertaking of Teng Gu distinctly demonstrates the idea of the twofold values of modern East Asian scholars: protecting tradition and advocating wester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