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활판본 <소대성전>의 계통에 관하여 (A study on genealogy of 「Sodaeseongjeon(蘇大成傳)」)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9.06
21P 미리보기
활판본 &lt;소대성전&gt;의 계통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7호 / 133 ~ 153페이지
    · 저자명 : 허찬

    초록

    본 논문은 활판본 고소설이 출판되기 시작하였던 1910년대에 출현한 <소대성전> 이본을 살펴보고,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소대성전>은 현재 남아 있는 고소설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현한 중요한 작품으로, 지금까지 이본에 관한 유의미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필사본과 방각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20세기 이후의 유통과정에 관해 새롭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남아 있는 1910년대 활판본 6종을 분석하고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필자가 파악한 <소대성전> 활판본의 출현과정을 재구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 경성의 동미서시와 평양의 광문책사에서 활판본 <소대성전>을 출판하였다. 같은 제목의 작품을 간행한 두 출판사의 생각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동미서시는 많은 축약이 이루어진 경판23장본계열의 이본을 원천으로 하여 한자를 붙이고, 한 면에 들어가는 분량을 줄여 독자들로 하여금 보기 편한 책을 만들어냈다. 이에 비해 광문책사에서는 내용이 풍부한 원본계열의 이본을 토대로 하여, 조판이 촘촘하게 이루어진, 그래서 면당 행수나 자수가 많은 <소대성전>을 만들어냈다. 이후 경성의 출판사들은 동미서시본을 토대로 하여 1917년에 몇 종의 <소대성전>을 간행하였다. 신구서림의 경우 동미서시본의 내용을 전적으로 수용하면서 면당 행수를 늘려 면수를 줄여 출판하였다. 신명서림과 공진서관은 동미서시본을 기반으로 이야기의 서두를 변형시켜 차별화를 시도했고, 마찬가지로 면수를 줄여 이윤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박문서관은 서두를 변형시키는 것에 더해, 새로운 인물과 새로운 화소를 추가하였다. 각각의 출판사들은 나름의 변화를 꾀하는 과정에서 완판이나 원본계열의 필사본 등, 경판23장본계열과 동미서시본 이외의 이본도 참고하였다. 경판23장본계열의 활판본 <소대성전>은 192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출판되었다. 그러나 광문책사본은 1917년 재판 이후로는 더 이상 유사한 텍스트를 생산하지 못하였다. 1914년에 나란히 출판된 두 활판본 <소대성전>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던 활판본 고소설 시장에서 경쟁하였고, 승자는 동미서시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d to look at the text of the typograhic versions of 「Sodaeseongjeon(蘇大成傳)」 published in the early days, and explore its formation process. In this paper, six types of typograhic version of 「Sodaeseongjeon」 published in the 1910s were analyzed and the features were explored. This process reconstructs the appearance process of typographic 「Sodaeseongjeon」 as follows; In 1914, two companies- Dongmiseosi(東美書市) in Keijo(京城) and Kwangmuncheaksa(光文冊肆) in Pyongyang(平壤) publishedtwo different typographic version of「Sodaeseongjeon」. Dongmiseosi has created a book that is easy to read by using the many abbreviated versions of Hanyang's woodblock version(京板坊刻本) text as its source, reducing lines and reducing embroidery. By comparison, Kwangmuncheaksa produced their version that was not readable because it had many lines or embroidery per face based on the original sequence, which was rich in content, not omitted or compressed, without missing pixels. Later, Keijo's companies published several 「Sodaeseongjeon」 in 1917, based on the Dongmiseosi script. In the case of the new forest, it was publish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ges per page and reducing the ground while fully accepting the contents of the Dongmiseosi version. Kongjinseokwan(共進書館) and Shinkuseorim(新舊書林) attempt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by transforming the story's haste based on the Dongmiseosi version, and similarly tried to increase profits by reducing the number of faces. In addition to transforming the haste, Pakmunseokwan(博文書館) inserted new characters and new pix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