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버트 라우셴버그의 반복, 차이짓기 너머의 존재신학 (Rauschenberg’s Repetition, an Ontotheology Beyond Differenti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9.03
38P 미리보기
로버트 라우셴버그의 반복, 차이짓기 너머의 존재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5권 / 1호 / 69 ~ 106페이지
    · 저자명 : 손지민

    초록

    로버트 라우셴버그는 추상표현주의를 비판한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가 비판한 추상표현주의의 주장은 작가에게만 고유한 행위의 흔적은 절대 사후 반복될 수 없다는 것이다. 라우셴버그는 이 주장을 실험에 부쳐 <지워진 드 쿠닝의 그림>과 <사실 I, II>을 통해 추상표현주의, 더 크게는 추상예술이 그토록 옹호하는 주체 행위의 절대성을 반복 실험으로 분화시킨다. 여기서 절대적인 것은 반복 이후 남는 흔적의 고유성이 아닌 나의 의도가 반복되었다는 사실 그 자체이며, 제삼자는 반복된 흔적에서 차이를 찾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함께 드러난다. 이 실험들에서 발견되는 ‘나만의’ 반복으로서의 작품 제시, 그리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최초의 차이’는 라우셴버그를 널리 알린 <콤바인>과 같은 매체 혼합 작업을 통해 확산되며, 이 레디메이드적 혼합은 이후 미니멀리즘과 팝은 물론 개념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의 근원이라 평가되어온 <백색 회화> 등은 할 포스터와 브랜든 조셉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모더니즘과 형식주의에 대한 네오아방가르드적 비판으로 읽혀왔으며,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을 통해 해석되어 왔다. 그의 반복 실험에서 발견되는 차이는 혼합과 확산 작용으로 예술과 산업사회 간의 무한한 전유 가능성을 열어젖히는 중요한 근거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 반복 실험의 근원을 차이짓기를 벗어나려는 “신학적” 작품들에서 찾고, 그의 <처음 하는 회화> 등에서 엿볼 수 있는 초월성을 근거로 그의 예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려 한다.

    영어초록

    Robert Rauschenberg is a well-known case of critique of Abstract Expressionism. The targeted main tenet is that the unique gestural trace of the Abstract Expressionist cannot be repeated. Rauschenberg performs experiments to test the tenet, experiments he would name <Erased de Kooning Drawing> and <Factum I, II>, where his repetitions work to split the absolute singularity of the expressed. What is revealed to be singular is the fact of having repeated and that the third party must capture a difference out of this repetition. The ‘first difference’ born out of ‘my own’ repetition becomes expanded through crudely mixed media installations among which figures his signature <Combines> series as well as in Pop, Minimalism and more largely Conceptualism. Meanwhile, his <White Paintings>, considered to be of seminal importance have long been interpreted as a neo-avant-garde critique of modernism and formalism by the likes of Hal Foster and Branden W. Joseph, and explained through the Deleuzian philosophy of difference. This article offers an alternative viewpoint by arguing that his repetitions originate from his “ontotheological” works intended to break from the (Deleuzian) theater of difference and intensity and also by focusing on his <First-time Painting>’s transcendent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