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화기 만주에서의 한글성경 번역과 문화 변동-1887년 존 로스의 H예수셩교젼서H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Translation of the Korean Bible and the Cultural Transition at Manturia Focusing on John Ross’s Korean Bible in 1887)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04
32P 미리보기
개화기 만주에서의 한글성경 번역과 문화 변동-1887년 존 로스의 H예수셩교젼서H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1권 / 1호 / 111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상훈

    초록

    근대의 시발은 번역과 함께 도래했다. 새로운 시대 정신과 문물에 대한 자국 이입 은 번역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 핵심 중 하나는 새롭게 떠오르는 종교 사상에 대한 이입이었다. 성경 번역이란 작업은 이를 통해서 자국문화와 타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서로 만나게 된다는 점에서 단지 종교적 의미만이 아니라 문화적, 언 어적, 사상적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한반도에서는 한글과 한문이라는 두 개의 언 어가 동시에 통용되었다. 전자는 구어적이고 서민적인 문화를 대변하는 언어였다. 반 면 후자는 귀족적인 정신세계를 대변하는 언어였다. 그러므로 서구 정신 세계의 핵심 을 이루는 성경이 한문으로 번역되는 것은 서구문명의 중국화 과정인 동시에 한국화의 과정이었다. 구한말 전통적인 모화사상으로부터 탈피하여 민족적 독립의 의지를 고취하고자 시도하였던 제반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민족의 글, 한글’에 자각이 이루어진다. 이같은 자각을 더욱 진전시킨 것은 성경의 전래와 그 번역을 통해 이루 어졌다. 성경의 번역과 보급은 일차적으로 언어 생활의 중심 이동인 동시에 이를 매 개로한 문화적 혁신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한글 성경 번역과 그 보급은 전통적인 귀 족중심의 한문문화 층으로부터 한글 중심의 서민문화 계층으로 그 중심성이 이동되 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변화는 만주라는 지역성을 통해 가능했다. 스코틀랜드성 서공회를 통해 존 로스는 1887년 최초 한글 번역 성경 H예수셩교젼서H를 출판, 보급 에 앞장섰다. 그를 도와 함께 했던 한인 조력자들은 이후 만주 지역과 그 지역을 넘 어서서 새로운 종교 사상과 문물의 이식에 앞장섰다. 20세기 초 국권 상실기에 한반 도와 중국의 접경 지역 만주 지역을 중심으로 자주와 독립의 열기가 뜨거웠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로스역 최초 한글번역성경은 한반도에 근대를 촉발하는 중요한 매 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로스가 시도하였던 성경 번역은 당대 민중을 보듬는 민 중의 발견이라는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그 민중들이 장차 의식화되어 민족의 정체성 을 소유한 한 개개인의 역량으로 자라나는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로스역 성경에서의 번역 원칙, 기점어보다 목표어를 중시했던 정신적 배경, 그리고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적 변동의 제 과정과 그 의의는 현대적 상황 속의 우리들 의 삶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초록

    Coming of a new era, named Modern is closely related to Translation. Through the activ- ity of the translation, not only culmination of the new civilization, but also fresh new spirit could be introduced. One of the core of the new spirit, we can count, is the new religion. Translation of the Bible in which the two differnent cultures encounters each other, can be evaluated as a locus of the cultural, linguistic and religious transformation. At the time of late 19th century, Korean Peninsula, as was called ‘Hermit kindom’, managed two lan- guages, Korean and Chinese, simultaneously. The former, Korean, was a language of the low class people, based on the oral usage, the latter, Chinese, was a language of the literari, mainly focused on the written usage. Translation of the Bible, on which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civilizaion was severely indebted, into Chinese, therefore, meant the adoption of the Western spirit to China as well as of that to Joseon. During the time of transition, Joseon was evoked to use their own traditional language, Han-geul, korean, from the realiza- tion of the importance of keeping the national identity. Koreans were to be enlightened to keep their own national identity whose essence were quite different from Chinese one. such a mental awareness was rapidly spread up to all the territory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Bible. Translation and Spread of the Bible contains the meaning of the renovation of their culture, first of all, and the change of the centeredness of the linguistic usage. Through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into Korean, the core of the cul- tural centeredness transformed from the upper class to ordinary one. Such a dramatic change was possible in the socio-geographical context of Manturia at the time. Missionary John Ross, who was worked with the Bible Society of Scotland, indulged in translating the Bible to Korean language, produced “Yesuseongyogeonso”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 tory in 1887. Korean helper for John Ross, from that time on, were diligently delievered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Bible to their own people. Manchuria, during the time ofJapanese imperial rulement, became a center place to produce many patriots, fight againt the military brutal invader. Many new elites who were heavily influenced with the spirit of the new religion, Christianity, became key figures who fight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ese imperial rulement. With these contribution keep in mind, We can say that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which was initiated by missionary John Ross, at Manchuria, was an important intermediation to bring the modernity to Korea, during the time. Ross’ Korean Bible can be counted as a basis for the meeting place among many ordinary class Koreans to evoke their patriot spirit for the independence. John Ross tried put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context in which the Bible to be read and spread, than that of al- ready formed and fix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