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멀티태스킹과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발현한 실시간 참여 민주주의 :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DTM)을 활용한 인터넷 게시판 분석 (Real-time Participative Democracy through Media Multitasking and Online Community Gamification: Analysis on the Online Posts Using a Dynamic Topic Mode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5
36P 미리보기
미디어 멀티태스킹과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발현한 실시간 참여 민주주의 :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DTM)을 활용한 인터넷 게시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1권 / 3호 / 78 ~ 113페이지
    · 저자명 : 최선영, 고은지

    초록

    이 논문은 탄핵 정국인 2016년 12월 7일 제2차 청문회 과정에서 나타난 실시간 온라인 참여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 인터넷 사이트인 디시인사이드 주식갤러리 이용자들은 김기춘 증인의 위증 영상 자료를 국회의원에게 제보하여 생중계로 위증임을 밝혀내는 데 일조한 바 있다. 본연구자들은 어떻게, 왜 네티즌 제보가 발생했는가에 주목하여 1차적으로 청문회 생방송과 게시판글이 동시적으로 반응한 미디어 멀티태스킹 상황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이내믹토픽 모델링(DTM)으로 2016년 12월 7일 9시부터 이튿날 오전 1시까지 디시인사이드 주식갤러리 게시판 글 25,110개, ‘개념글’ 총 103개, ‘개념글’의 댓글 13,654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게시판 글의 흐름은 청문회 내용과 실시간으로 연동하고 있었고, 등장인물과 증인 신문의 맥락에 따라 게시 글 발생 빈도와 추이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안에 대한 핵심이슈인 내용보다주변 이슈라 할 수 있는 감정적 질의응답 상황, 특정 태도와 말투, 외모 등에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DTM을 통해 주제 40개를 추출하고 시간 추이에 따라 높은 발생가능성을 보인 주제 6개를 선정하였는데, ① 여야의원 ② 장시호증인 ③ 청문회인물평 ④ 최순실 ⑤ 거짓말 ⑥ 위증제보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제에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핵심단어를 분석한 결과 단어의 발생가능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위증 자료 제보가 나타난 맥락의 추이를 추론할 수 있었다. 셋째, 이용자들은 ‘개념글’, ‘댓글놀이’, ‘디시콘’ 등 게시판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하여 실시간 게임처럼 청문회 관련 글을 게시하고 있었으며, 관례화된 놀이 방식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참여민주주의를 즐기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과 인터넷 글쓰기라는 미디어 멀티태스킹이 실시간성(liveness)에 의해 적극적이고 유희적인 참여 민주주의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 on a real-time participating democracy during the second hearing of the parliamentary investigation for impeaching a president. We analyzed the topics and thread patterns by time series from web posts of ‘Stock Gallery’ at DCinside from December 7th, 2016 9 AM to December 8th 1 AM with a computational analysis method. At the time, the users of the web community provided the evidence of perjury of Gi-chun Kim to the participating congresswoman to prove the perjury during the live streaming. We considered the ‘netizen report’ to be a result of a media multitasking with viewing of the streaming from the second hearing and posting on the online community, rather than a coincident incident. Therefore, we conclu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ntext of posts relates to the content of the public hearing, mostly focusing on the specific attitude or tone of participants rather than the major contents of comment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keywords analysis by the time trend, the topic has evolved, and we confirmed the time flow of context of an agreement to report the evidence. Thirdly, users used the gamification of the web community, such as ‘key posts’, ‘comment game’, or ‘DC emoji’, to post the public-hearing-related articles like playing a game, saliently evoked the perjury video posts to appear, which lead to provoking users to report the evidence. This result gives a possibility of an active and amusing participatory democracy by the liveness of the media multitasking with viewing and posting on an onlin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