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도심회귀와 젠트리피케이션 (The Urban Core Revival and Gentrification since the mid-1990s in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도심회귀와 젠트리피케이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7권 / 3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은혜

    초록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 젠트리피케이션이 가져온 공간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서구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주로 공간재편, 건조환경, 도시커뮤니티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학문적 평가역시 개방도시론과 보복도시론으로 대립되었다. 반면, 일본의 도시화-교외화 현상은 고도성장기에 본격화되었고, 80년대 버블경제기에는 대도시권 도심의 지가상승이 재개발을 확대시켰다. 버블붕괴로 인한지가 하락은 지난 20년간 도심 인구를 점차 회복시키면서, 맨션 주택의 증가, 대규모 상업시설 입지, 그리고 대학 캠퍼스 이전 등 복합적 결과를 낳았다. 전후 고도성장기 도심인구 증가는 취업자수 증가로인해 발생했던 반면, 1990년대 중반 이후는 도심 내 직장 및 캠퍼스가 있는 정착층이 형성되어 차이를보인다. 도쿄도 츄오구는 고층맨션의 확대와 지가상승이 현저한 추세를 보이는 대표적 지역이다. 향후일본 대도시권 도심부 중상류층의 거주 증가는 공간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전망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Japanese gentrification since the mid-1990s. The gentrification in western context has brought the changes the spatial restructuring, built environment, and urban community mostly, and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e gentification like the emancipatory city thesis and revanchist city thesis. The urbanization and suburbanization in Japan were expanded in high growth period, intensified because of the Land-value rising effect (giageya) in bubble period. However, the urban core areas have revived in population over the last twenty years After the Collapse of the Bubble Economy, it happened the increase of mansion housing, the siting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relocation of college campus etc.
    Meanwhile the population growth in urban core areas was the cause of employment growth in high growth period, the population revival in mid-1990s was promoted by residents for cutting the commute time and students for attending the campus.
    Especially, the Chuo-ward in Tokyo is the largest population in gentirification, it has happened that the high-rising mansions and land value increase. The upper-middle class has been increased in urban core areas of metropolitan areas, the spatial polarization will be deepened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