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로맨스’의 네이션과 젠더—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을 중심으로 (Nation and Gender in “Colonial Romance”—With a focus on the drama Mr. Sunshin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식민지 로맨스’의 네이션과 젠더—드라마 &lt;미스터 션샤인&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8권 / 1호 / 111 ~ 148페이지
    · 저자명 : 구자준

    초록

    2018년 tvN에서 방영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은 지금까지의 역사 드라마에서 크게 조명받지 못했던 20세기 초 대한제국 시기 한성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드라마는 의도적인 시공간의 착종(錯綜)을 통해 1910년대 한성과 1930년대 경성의 풍경을 뒤섞으면서, 극의 역사성과 고증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미스터 션샤인>이 굳이 식민지 시기의 ‘모던’한 풍속을 소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1930년대 경성이라는 배경은 드라마의 서사 및 로맨스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유행한 ‘식민지 모던’ 재현의 연장선에서 <미스터 션샤인>을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의 논의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드라마 속 캐릭터들의 네이션과 젠더가 지닌 의미를 규명한다.
    <미스터 션샤인>에 나타나는 시공간의 착종은 소재적 측면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식민지 경성이라는 시공간에서 펼쳐지는 로맨스의 관습적 등장인물과 서사 구조까지 일정 부분 참조하며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드라마는 2000년대 이후 식민지 경성을 배경으로 한 영화·드라마들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있는데, 이때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주요 인물들의 특성과 젠더에 따라 다르게 구축되는 네이션과의 관계이다. <미스터 션샤인>의 유진 초이는 이전까지의 ‘모던 보이’들과는 달리 일본과 조선 사이에서 갈등하지 않는다. 대신 그는 미국 국적과 군인 신분을 바탕으로 자신의 초국적·군사주의적 남성성을 과시하면서 끊임없이 여성 주인공을 보호한다. 반면 여성 주인공인 고애신은 당차고 주체적인 인물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맨스를 통해 남성 주인공을 조선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2000년대 이후 식민지 로맨스의 여성 주인공들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식민지 시기 ‘모던’의 재현 양상 변화에 관한 탐구이자, 새로운 로맨스의 등장이 젠더와 네이션에 관한 우리 시대의 인식을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보여주는 논의이기도 하다. 드라마는 ‘지금’ 이 시대의 욕망과 논리를 역사 속 사건과 인물에 투영하기 때문이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1930년대 식민지 경성에 대한 재현에서 모던을 향한 매혹과 민족주의의 논리가 위태롭게 동행해왔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인과 젠더, 민족과 국가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이고 때로는 모순된 인식이 그동안 1930년대의 풍경으로 표출되어 왔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미스터 션샤인>의 성과와 한계는 모두, 로맨스를 통해 이와 같은 위태로운 동행의 문제를 적절하게 봉합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Aired on tvN in 2018, the drama Mr. Sunshine is set in Hanseong during the Korean Empire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period did not receive many highlights in historical dramas. This drama stirred various discussions about its historicity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by mixing the landscape of Hanseong in the 1910s and that of Gyeongseong in the 1930s through intentional time and space entanglement. Why does it summon the “modern” custom of the colonial period? How is the background of the drama, Gyeongseong in the 1930s, related to its narrative and romance?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rama on an extension of “colonial modern” reproduction that was in vogue since the 2000s and investigate the meanings of its character’s nation and gender that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previous discussions.
    In this drama, time and space entanglement is not restricted only to materials. It happens partially based on even conventional characters and narrative structures in romance that unfolds in the time and space of colonial Gyeongseong, thus holding importance. The drama critically inherits movies and dramas set in colonial Gyeongseong made since the 2000s. Here, the main characters’ relations with a nation are apparent as they ar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gender of characters. Unlike the old “modern boys,” Eugene Choi has no conflicts between Japan and Joseon. Instead, he shows off his transnational and military masculinity based on his American nationality and soldier status and keeps protecting the heroine.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 Go Ae-shin is set as a confident and independent character but ends up similar to other heroines in colonial romance since the 2000s as she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 hero to return to Joseon through romance.
    This discussion offers an inquiry into the changing patterns of reproducing “moder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shows how the appearance of new romance reflects the current perceptions of gender and nation as dramas project the desire and logic of “current” times in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There is a special need to focus on the risky companion of fascination with modern and nationalist logic in the reproduction of colonial Gyeongseong in the 1930s since the 2000s. It shows that the complex and sometimes contradictory perceptions of individual and gender and people and state have been expressed in the landscapes of the 1930s. Both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Mr. Sunshine are the results of stitching up this issue of risky companion properly through ro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