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을 통합한 대학생 대상 단기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hort-Term Onlin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tegrating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a Growth Mindse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을 통합한 대학생 대상 단기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심리연구 / 38권 / 4호 / 861 ~ 896페이지
    · 저자명 : 한수연, 박용한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을 통합한 단기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으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성장마인드셋,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도시 30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1명(‘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 50명, ‘행동조절전략’ 집단 51명, ‘통제집단’ 60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5회기 중재를 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증, ANCOVA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델파이 조사 등을 거쳐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을 증진하는 단기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후 ‘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과 ‘행동조절전략’ 집단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그 효과는 2개월 후까지 유지 또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은 인지․동기․행동조절이 모두 향상되었으나 ‘행동조절전략’ 집단은 동기․행동조절에서만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과 ‘행동조절전략’ 집단 모두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행동조절전략+성장마인드셋’ 집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노력 귀인, 정서조절이, ‘행동조절전략’ 집단은 학업지연, 학업적 자기효능감, 정서조절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조절전략 온라인 프로그램 중재로 단기에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향상되고, 행동조절전략과 성장마인드셋을 통합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적 함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단기적인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행동조절전략뿐만 아니라 성장마인드셋을 함께 길러줄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 학습 프로그램을 중재 시 학습전략과 같은 행동기술적인 요소와 성장마인드셋과 같은 동기적인 요소가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hort-term onlin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at integrated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a growth mindset a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s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growth mindset,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61 college students from 30 universities across 11 cities; 50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51 to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only group, and 60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sessions over two month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paired t-test, and ANCOV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short-term online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college students’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growth mindset through needs assessment, program design, and the Delphi method. Second, improvement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was observed in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as well as in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only group after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en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explored,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regulation abilities improved for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whereas only behavioral regulation improved for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only group. Thir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mindsets were observed for both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and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only group. The effects were larger for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Fourth, students in the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plus growth mindse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emotional regul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effort attribution, whereas students in the behavioral-strategies only group showed improvement in emotional regulation,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would be able to improve through a short-term online intervention of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that the intervention would be more effective by integrating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a growth mindse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can be improved effectively through a short-term online program. In particular, findings suggest that both behavioral-regulation strategies and a growth mindset should be enhanced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y. Accordingly, a learning-interven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should encompass both behavioral skills and motivational compon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심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