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동의 증언과 침묵의 발화 -김숨의 일본군 ‘위안부’ 증언소설 세 편 읽기- (Testimony of Affect and Utterance of Silence -Reading Kim Sum’s three testimonial novels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정동의 증언과 침묵의 발화 -김숨의 일본군 ‘위안부’ 증언소설 세 편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82호 / 91 ~ 114페이지
    · 저자명 : 우미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김숨의 일본군 ‘위안부’ 소설 세 편 -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 『듣기 시간』 -을 정동의 증언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정동은 인간의 정신에 새겨진 감정적 충격의 흔적이다. 이는 의식 이전의 경험이기에 정동을 증언한다는 것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드러내는 역설적 행위이다. 리오타르에 의하면 이는 정동-문구(phrase-affect)를 통해 자신을 드러낸다. 정동-문구는 침묵, 느낌, 어조, 억양, 몸짓 등이다. 이는 일반 언어학적 의미의 문구가 아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언어화할 수 없는 충격적 고통의 ‘있음’ 자체이다. 고통의 있음을 드러내는 표지 혹은 신호이다. 김복동과 길원옥 증언집 소설인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에는 증언자의 고통이 침묵과 반응 및 몸짓 등으로 드러나는 정동-문구를 통해 발화된다. 고통을 증언하는 정동-문구는 일반 언어체계를 넘어선다는 점에서 고통의 정도를 더욱 강하게 드러낸다. 하지만 의미작용은 거기에서 멈춘다. 결국 의미 전달과 해명에 입각한 일반언어체계의 의미론에서 볼 때 이 언어는 지극한 실패의 언어이다. 『듣기 시간』에서 이는 증언자의 침묵을 통해 드러난다. 채록자는 증언자의 말에 집착하지만 그에 대한 침묵 쓰기 또한 불협화음으로 가득 찬 연주로 마무리된다.
    김숨의 소설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 경험은 인간의 정신적 에너지를 초과하는 사건으로서 정신 기관 자체로 들어오지 못한 사건이다. 이는 드러낼 수 없는 사건이다. 동시에 이에 대한 물리적 흔적은 남아 있기에 이는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 자체를 상실한 딜레마의 사건이기도 하다. 김숨의 일련의 증언소설에서 유지되는 긴장은 이러한 딜레마와 연결된다. 증언을 둘러싼 말하는 자의 이중성, 말하는 자와 듣는 자의 팽팽한 거리와 불협화음은 이러한 타협을 애초에 근절한다. 이를 통해 증언자의 경험은 지속적으로 환기되고 또 기억된다. 이것이 정동-문구를 중심으로 한 김숨의 소설이 일군 성취이다. 곧 그의 새로운 언어는 역사로서의 증언이 아닌 문학적 글쓰기로서 증언의 한 형식을 창출해 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ree of Kim Sum’s novels abou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 The Sublime is Looking at Me, Have You Ever Wished a Soldier to Be an Angel, and Listening Time -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estimony of affect. Affect is a trace of this emotional shock engraved in the human psyche. Since this is an experience before (un)consciousness, testifying to affect is a paradoxical act of revealing the unspeakable. According to Lyotard, this reveals itself through phrase-affect. Phrase-Affect include silence, feelings, tone, intonation, and gestures. In other words, it is not a phrase in the linguistic sense. What it means is the ‘existence’ of shocking pain that cannot be verbalized. It is a sign that reveals the presence of pain. In Kim Bok-dong and Gil Won-ok’s testimonial collection novels, The Sublime is Looking at Me and Has a Soldier Ever Wished to Be an Angel, the pain of the testifier is revealed through phrases-affect revealed through silence, reaction, and gestural signals. Phrase-affect testifying to pain reveal the degree of pain more strongly in that they go beyond the general speech system. But the signification stops there. In the end, it is a language of extreme failure when viewed from the semantics of a general language system based on conveying and explaining meaning. In Listening Time, the silence of the witness is emphas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stener. We approach the witness by obsessing over his words, but writing about them in silence also ends with a performance full of dissonance. In the novel shown by Kim Sum,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by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an event that exceeds human mental energy and does not enter the mental organ itself. This is an unpresentable event. At the same time, since physical traces of this remain, this is also a case of dilemma in which one loses the means to prove oneself. The tension maintained in Kim Sum’s series of testimonial novels is connected to this dilemma. The duality of the speaker himself, formed around the testimony, and the tight distance and dissona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eradicate such compromise from the beginning. The significance of the testimonial novel as literary writing rather than historical testimony also lies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