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브란스병원 건립을 둘러싼 선교사들의 갈등과 선교정책 수정 (Conflict between Missionaries over the Building of Severance Hospital in Seoul and the Modification of the Mission Polic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4.03
38P 미리보기
세브란스병원 건립을 둘러싼 선교사들의 갈등과 선교정책 수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5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문백란

    초록

    미국 북장로교 한국선교회 내의 서울지회와 평양지회 선교사들은 서로 경쟁해오다가 세브란스병원 건립문제를 계기로 1900년 말부터 크게 충돌했다. 평양 측은 의사가 두 명 이상 있는 큰 병원을 결코 허용할 수 없고, 한국인 의사를 양성하는 일과 의학컬리지의 설립도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의료사역이 복음전파를 위한 쐐기의 역할에 불과하므로 의료가 성행하면 전도사역이 피해를 보게 된다고 보았다. 또한 중국을 비롯한 다른 선교지의 교회가 자급을 성취하지 못한 것은 그곳의 선교사들이 학교와 병원 등의 기관들을 세워 서구의 부를 과시했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자급정책을 성공시키려면 기관사역을 교인들의 경제수준에 맞춰 최대한 소규모로 시행해야 한다고 믿었다. 반면에 서울 측은 의료사역을 복음의 실천행위이자 기독교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일로 보았다. 곧 전도와 의료가 같이 간다고 보았다. 자급정책은 많은 지원이 필요한 의료분야의 특성에 맞춰 유연한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의료사역이 한국인들에게 연장될 수 있게 한국인 의사를 양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선교회 안에서 평양 측의 반대주장이 우세했으나 1904년 11월 16일에 병원이 개원되고, 새 의사가 부임하고, 의학교육이 허용되어 최종 승리는 서울 측의 것이 되었다. 이 모든 논란은 1904년에 조정된 내부규칙에서 의료사역의 기본방침이 확정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평양 측이 강조한 ‘전도 우선’, ‘의사 한 명이 있는 규모의 병원 운영’, ‘자급 운영’의 기본 틀에 서울 측이 강조한 ‘의료사역의 발전 인정’, ‘의학교육 실시’가 더해진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그들은 문서로 인쇄되지 않은 새로운 선례들을 갖게 되었다. 새 선례들은 세브란스병원처럼 한 병원에 두 명 이상의 남자 의사를 두는 경우를 허용한 것과 자급문제에서 본토인의 후원능력을 뛰어넘는 분야는 외국돈을 끌어들일 수 있게 한 것이었다. 후자는 이후에 대학을 포함한 상급과정 학교건립에도 영향을 미쳐 더 스스럼없이 외국인의 기부를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Starting in late 1900, missionaries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PCUSA) stations in Seoul and Pyeng Yang clashed over the erection of a hospital in Seoul supported by Mr. L. H. Severance(1838–1913). The missionaries who sided with the Pyeng Yang station insisted they could not allow the erection of a large hospital that would need more than two doctors and train Korean doctors in a medical college. They felt that such medical initiatives would hinder their evangelical work and believed that churches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had failed to achieve sustainability because of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which missionaries had made the wealth of Western countries conspicuous. They believed they should manage institutions in the humblest way possible, as befitting Christians. In contrast, the Seoul group saw medical work as putting the gospel into practice and exhibiting the real character of Christianity. In their view, medical work and evangelical work went together. They thought that the policy of self-sustainability should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nature of medical work, which much social support, and that Korean doctors should be trained to continue their medical work.
    Although the argument of the Pyeng Yang group predominated, the Seoul group succeeded in opening Severance Hospital in November 1904. The disput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ed in the amendment of the articles concerning medical policy in the Mission Rules and By-laws. Two new elements advocated by the Seoul group were added to the basic elements upheld by the Pyeng Yang group. These were ‘developing of medical work’ and ‘giving medical education,’ and the basic ones were ‘the priority of evangelical work,’ ‘maintenance the hospital size with one doctor,’ and ‘management based on self-support principle.’ The rivals also set two unwritten precedents. One was to allow two male doctors in hospitals such as Severance Hospital and the other was to make it possible to proactively bring in foreign money to support mission work that surpassed natives’ financial capacity to maintain. This latter point affected educational work, as missionaries in Korea could ask without hesitation for foreign gifts to build higher education buil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