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孫子의 전쟁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自然과 勢를 중심으로- (A Philosophical Study on Sun Tzu’s View of Wa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2.05
31P 미리보기
孫子의 전쟁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自然과 勢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36권 / 125 ~ 155페이지
    · 저자명 : 이권

    초록

    현대중국의 정치학자들은 한 나라의 힘을 ‘종합국력’으로 평가하곤 한다. 종합국력이란 국력을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서 군사-안보 분야에만 국한하지 않고 과학기술과 경제력을 포함하는 국가적 힘을 의미한다. 종합국력의 지표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2위의 국력을 자랑한다. 중국이 무력을 사용하는 패턴이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까닭은 21세기로 들어서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한 중국경제 및 중국공산당에 대한 자국민의 신뢰와 더불어 북한정권의 불안정성 때문이다. 중국은 이미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대규모의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어 언제든지 무력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다. 중국이 군사행동에 돌입하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직접적인 소재는 북한문제이고, 북한영토에 개입한다면 우리나라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이 무력분쟁이 일어날 때 중국이 어떤 논리에 따라 힘을 행사하는지를 우리가 알아야 하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이다.
    孫子의 병법에는 중국인들이 갈등과 무력분쟁 상황에 대처할 때 항상 작동하였고, 지금도 작동하고 있는 메커니즘이 오롯이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철학의 전통적 세계관에 비추어 전쟁을 해석한 결과물이 담겨있다. 孫子의 전쟁관은 老子의 無爲政治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孫子의 전쟁관을 老子의 무위정치론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아울러 孫子의 전쟁관이 갖는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의 비교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老子의 無爲政治論은 自然이라는 자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즉 ‘無爲而無不爲’의 명제에서 ‘無爲’로부터 ‘無不爲’에로의 이행은 ‘自然’의 원리에 따라 자동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孫子의 병법에 나타나는 不戰勝의 이념과 구체적인 전쟁술 사이의 내적 연관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孫子의 勢 관념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전쟁 상황에서 勢는 彼我의 기울기를 말하는 용어로서, 자동적이고 필연적인 승리(不戰勝)를 산출하는 자동장치이다.
    넷째, 不戰勝을 이끌어내는 구체적인 조건들인 기만술과 정보전, 지휘관의 합리적인 계산능력, 공격 대상의 우선순위, 수적 우세의 확립 등으로부터 전쟁 사태를 전면적이고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읽어낼 수 있다. 孫子의 시각은 유기체적 전쟁관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유기체적 전쟁관에서는 相反相成과 對立轉化에 기초하기 때문에 전쟁을 끊임없이 변화하며 살아있는 것으로 보는 동시에, 이성능력을 통해 전면적․전체적인 파악이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여섯째, 孫子가 말하는 勢와 『老子』에 나타나는 自然은 동일한 메커니즘을 지닌 자동장치이기 때문에 『孫子』에서는 『老子』의 명제들을 쉽게 원용할 수 있었다. 勢가 개체 외적 맥락에서 작동하는 것이라면 自然은 개체 내적 맥락에서 작동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make an academic preparation for the potenti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near future. Sun Tzu’s strategy contains not only a full array of war mechanisms that always operated (and are still operating) when Chinese coped with disputes and armed conflicts, but also an interpretation of war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world held by Chinese philosophy. His view of war is directly connected to Lao Tzu’s doctrine of the politics of “pursuing no end.” This article examines Sun Tzu’s view of war in conjunction with LaoTzu’s doctrine.
    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Lao Tzu’s pursuing-no-end politics operates through the automaton of “self-so.” In the thesis of “pursuing no end leaves nothing not done,” the transition from “pursuing no end” to “nothing not done” is achieved in automatic and mechanical ways by the principle of “self-so.” Second, to find connections between Sun Tzu’s idea of victory without fighting and the concrete art of war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his concept of “Shi.” Third, shi refers to the relative military strength between two warring sides and is an automaton that produces an automatic and inevitable victory (victory without fighting). Fourth, we can acquire a perspective of grasping war situations generally and totally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ditions for victory with fighting - trickery, intelligence, commanders’ rational calculation, attack target priorities, the establishment of numerical superiority, and so on. Sun Tzu’s perspective is based on an organic view of war. Fifth, his organic view of war, based on the doctrines of “the opposites form each other” and “the opposites turns into each other,” understands war not only as alive and constantly changing but also as something that can be grasped generally and totally by rational faculty. Sixth, Sun Tzu was able to make easy use of Lao Tzu’s doctrines because Sun Tzu’s Shi and Lao Tzu’s self-so are the same automaton that has the same mechanism.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Shi is something operating outside individuals, while self-so is something operating insid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