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은인가, 상응인가? - 찰스 1세의 교회정책과 교회헌법 - (Conformity or COngruity? - The Caroline Eccelsiastical Policy and the Canon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9.12
32P 미리보기
순은인가, 상응인가? - 찰스 1세의 교회정책과 교회헌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국연구 / 22호 / 23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중락

    초록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그리고 아일랜드의 공동 왕 찰스 1세는 1630년대 새로운 교회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그 교회정책의 일부로서 각국에 교회헌법을 도입하였다. 1630년대 도입된 세 권의 교회헌법은 찰스가 종교적으로 매우 헌신된 사람이었고, 제단이 있는 교회당, 화체설에 입각한 성찬식, 주교제에 의한 교회조직, 그리고 국왕이 수장인 교회운영 등의 교회관에 집착했음을 보여준다. 그는 세 왕국의 교회 모두 자신이 원하는 모습의 교회로 바꾸어지길 원했다. 그러나 그러한 목표를 향해 가는 데 있어서 세 교회의 상황은 달랐고, 세부 정책의 차이는 이러한 상황의 차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왕국마다 강조된 정책은 조금씩 달랐으나 그의 최종적인 목표는 한 곳이었다. 그 목표를 위해 스코틀랜드 교회는 잉글랜드 교회보다 더 많이 바뀌어야만 했던 것이다. 찰스는 엘리자베스나 제임스 시대의 잉글랜드 국교회를 벗어나 그 자신이 설정한 이상적인 모델의 교회로 두 국교회를 끌어다 맞추려한 것이다. 따라서 찰스의 교회 정책은 어느 한 국교회를 다른 국교회로 일치시키려한 ‘순응(conformity)’이 아니라 두 국교회 모두를 변화시켜 제3의 교회제도에 일치시키려한 ‘상응(congruity)’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nature of Charles I’s ecclesiastical policy in the 1630s by analysing the three books of Canons. Charles introduced three sets of canons in the churches of Ireland, Scotland and England within six yearsarthe Irish Canons of 1634, the Scottish Canons of 1636, and the English Canons of 1640. These three sets of canons give us a comprehensive view of the Caroline ecclesiastical policies in the 1630s. Not only were the canons concerned with discipline but they were also interested to regulate church government, doctrine, worship, ritu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Charles or the Laudian bishops had put almost every single part of their ecclesiastical programme into the new canons.
    What the Scottish Canons of 1636 and the English Canons of 1640 show is that the Caroline ecclesiastical policy of the 1630s in the two kingdoms ― and certainly in the three kingdoms ― was a single policy. Charles committed himself deeply to the reintroduction of the altar, the Eucharist ceremonies based upon the theory of transubstantiation, Episcopacy, and Royal supremacy in the church, which looked as popish for many contemporaries.
    From Charles’s point of view all three churches had fallen short of the glory of God. The king wished to bring them into uniformity by introducing the rites and ceremonies which he believed to be essential to decent, beautiful and orderly worship. Had the Scottish practice of religion in the 1630s been the same as that of the English church, the king would still have promoted ecclesiastical reform. His desire was not to see the churches of Ireland and Scotland conform to the Church of England, but to see all three churches remodelled according to his own ecclesiastical vision.
    Even though each set of Canons placed emphasis on different points,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was a tension between them. They pursued the same rites and ceremonies, the same discipline, the same worship and the same government. It was a flexible method for solving different problems, rather than one aiming at different goals. If the Scottish canons aimed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the reformation of worship and church government, the first stage of the goal, the English canons were concerned with the fulfillment of the altar policy, perhaps the final stage. Charles aimed at the British uniformity in religion not by an anglicization, but by a congru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