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자감시의 성격에 대한 세 가지 담론과 그 경험적분석 (The Empirical Test on the Threefold Model of the GPS-Electronic Monitoring in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6.06
44P 미리보기
전자감시의 성격에 대한 세 가지 담론과 그 경험적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25권 / 2호 / 9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성언

    초록

    코터와 데 린트(2009)는 전자감시를 넬리스(2005)가 제시한 현대 행형의 세가지 요소, 즉 처벌주의-억압주의적 담론, 관리주의-감시주의적 담론, 인도주의-재활주의적 담론이라는 정립(鼎立) 모델을 통해 바라보았다. 코터와 데 린트의분석 틀은 우리나라 전자감시 제도의 특성을 살펴보는 데도 유용하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자료(2014)를 분석한 결과, 전자발찌를 부착하고 있는 성범죄자들과 이 제도를 운영하는 담당 직원들은 공히 우리나라 전자감시 제도에도 이 세가지 담론적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관리-감시주의 담론이 다소우세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그런데 세 가지 담론은 전자감시를 통해 추구하려는 바가 서로 다르고 대상자의 재범에 미치는 효과도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와 담당자 모두 처벌주의는 재범 가능성을 높이고 재활주의는 재범 가능성을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있었다. 관리-감시주의가 재범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대상자와 담당자의 인식이 서로 달랐다. 담당자는 전자감시가 감시가 진행되는 기간 중에는 물론 그 기간이 종료된 후에도 대상자의 재범을 낮출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 대상자는 전자감시가 오히려 기간 중 재범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필자는 전자감시 운영 주체가 세 가지 담론 중 어느 것에 우선적 가치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 전자감시 제도의 성격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감시를 규정하는 담론 간 결합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처벌주의 담론은 관리-감시주의 담론 및 재활주의 담론과 각각 부적 관계에 있고 관리-감시주의 담론과 재활주의 담론은 정적인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향후 재활주의 성격을 보강함으로써 전자감시가 관리-감시주의적 논리에 크게 경도되는 것을 견제해야 한다고제언하였다. 특히 대상자의 재활을 위해서는 적합한 대상자의 선정과 관리가 필요하며, 전자감시의 관리-감시주의적 요소들은 대상자의 재활을 위한 도구적 원리로써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discussion of Nellis(2005), Cotter and De Lint(2009) suggest that contemporary penology is better understood as three inter-connected sets of discourses: ‘punitive-repressive,’ ‘managerial-surveillant’ and ‘humanistic-rehabilitative.’ This paper represents an empirically-based attempt to locate GPS-electronic monitoring within this threefold model. Th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KIC’s research on the Korea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2014), which surveyed 229 programme managers and field officers and 410 electronically tagged sex offenders.
    The overall findings indicate that the punitive, managerial-surveillant, and rehabilitative discourses are incorporated into the operation of GPS-EM programm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GPS-EM practitioners and sex offenders perceive the alternative sanction to be invested in tenets of the threefold model: the repressive, rehabilitative and managerial-surveillant discours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unitive, managerial-surveillant and rehabilitative tenets through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s that GPS-EM programme discourses are significantly saturated with both rehabilitative and managerial ideals. The rehabilitative and managerial-surveillant discourse were recognized by the EM practitioners and the offenders as a means of determining reduced recidivism and reintegration, but the punitive discourse was not. This findings suggests that as managerial-surveillant ideals increase in perceived importance, rehabilitative ideals also increase in perceived importance. That is, as rehabilitation increased in perceived importance so did the ability to manage categories of offenders.
    This research provides clear empirical discourses that both the ‘rehabilitative’ and ‘managerial-surveillant’ discourses are utilized by practitioners in their understanding of GPS-EM operations. This paper shows that practitioners and offende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and management-surveillance in the operation of GPS-EM and suggest that each has an intricat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rather than emphasis strictly placed on the latter as is often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