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공동체 세우기를 통한 교회의 시민사회 참여 (Church participation in Civil Society through Community Build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0.02
30P 미리보기
지역공동체 세우기를 통한 교회의 시민사회 참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22호 / 107 ~ 136페이지
    · 저자명 : 정재영

    초록

    본 연구는 시민 공동체로서 지역사회 구성원인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및 주민과 함께 교회가 참여하여 지역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통적인 촌락공동체는 붕괴되었고, 현대 산업 사회에서 조직 구조의 거대화와 관료주의화는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친숙성이 어렵게 하며 비인격의 인간관계를 초래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성과 인격의 상호성 또한 약해지고, 인간은 결국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사람들 사이에는 예전의 공동체를 그리워하고 공동체 안에 안주하려는 욕구가 심화된다. 이것이 바로 ‘새로운’ 지역 공동체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이 ‘새로운’ 지역 공동체는 교회와 시민사회가 만나는 지점을 제공한다.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감당해야 하는 사회적 요구는 증대하는 대신에 정부의 예산부담은 줄여야 하는 추세가 뚜렷하므로 결국 기대어야 할 곳은 시민사회의 자발적 부문뿐이라는 기대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 교회 역시 시민 사회에 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인적, 물적, 제도적 자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회가 한 축을 감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교회는 종래 시민사회를 하나로 묶어주던 사회 제도들이 제대로 제구실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생긴 사회적 공백을 메우고 지역공동체를 재조직하는 일에 앞장서야 할 당위성을 지니게 되었을 뿐더러 현실적으로 그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현대 시민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에 대해 단순히 이론 차원에서만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 차원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먼저 교회와 시민 사회는 어떤 관계에 있고 교회의 시민 사회 참여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서 흔히 공동체라고 표현되는 교회가 오늘날의 시민공동체와 어떻게 맞닿아 있으며, 교회 구성원인 ‘교인’이 어떻게 ‘시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 교회가 실제로 시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하나로 교회와 시민 단체 및 지역 자치 단체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through a combined effort by the church as a part of the civil community, together with local community members such as the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s, citizens organizations, and the citizens. Traditional, tribal communities have collapsed. The enlargement and the bureaucrac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have made intimacy between members of a society difficult and caused inhum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is situation, trust and mutual personality betwee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e weakened, and human beings inevitably feel a sense of alienation. As a result, a longing for the past community and the desire to settle deepens. This is the reason why a ‘new’ local community is needed.
    This ‘new’ local community provides the place where the church and the members of the society can meet. While the social needs that a nation must shoulder in a modern society increase, because it is evident that the financial burden of the government must decrease, the resulting reliance which ends up being the voluntary contribution of the society is gradually growing. In light of this, since church is also a part of the society and has much human, materia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it is a logical conclusion that the church takes on a responsibility over a certain realm. Church fills the social gap created when social organizations that once bound society together into one could not fulfill its function, and has not only earned the legitimacy but also is able to realistically reorganize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thus does not discuss simply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role of the church in modern society, but aims at seeking specific methods to apply on the practical level. For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ociety will be discussed, as will be the meaning of church involvement in society. Through this, how a church that is typically called a community comes into contact with today’s social community and how a member of the church can be a member of the society will be discussed. And as one of the specific methods of the Korean church to practically participate in society, a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where the church, society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e together will b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