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본소득 재원으로서 데이터세 도입방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ata Tax as the Source of Revenue for Implementing Basic Income)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0.11
58P 미리보기
기본소득 재원으로서 데이터세 도입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세무와 회계연구 / 9권 / 4호 / 5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신언

    초록

    현대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디지털화에 따라 세계 경제도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다. 전통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 양질의 일자리가 생겨나지만, 현대 사회는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화가 확산되면서 장차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인력을 대체하는 사회가 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비대면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없는 업종의 일자리는 줄어들고 경제 상황까지 악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 정부가 코로나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자 전 국민에 대한 기본소득 지급이 다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는 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의 사회보장, 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지며,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절한 소득을 분배할 책무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기본소득의 지급도 국가가 당연히 국민의 권익과 경제생활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현재 기본소득과 관련된 정치적인 논쟁의 이슈이기도 한 기본소득의 재원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전 국민에 대한 기본소득 지급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이슈라고 할 것이다. 국가는 공채와 조세를 통해 필요한 재원을 조달한다. 공채는 신속하게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국가의 부채가 증가하게 되므로 재정건전성을 고려하여 적정선을 유지해야 한다. 반면, 조세는 국민으로부터 징수하는 것이므로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게 되어 신중할 수밖에 없다. 기본소득의 재원확보와 관련된 문제가 바로 이러한 내용이다. 그렇다면, 4차산업 시대의 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사용에 대하여 국가의 채무증가나 국민에게 전가되지 않는 방법으로 재원을 조달할 방안이 마련된다면, 현재의 국면에서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한편, 세계 경제가 디지털화되면서 세계적으로 구글, 페이스북 등과 국내에서는 카카오, 네이버 등의 IT 기업들이 성장하였다. 특히 구글, 애플과 같은 거대 IT 기업들은 주로 조세피난처를 이용해 조세회피를 해오고 있는데, 이들을 저지하기 위해 구글세라고도 불리는 디지털 세제의 도입에 세계 각국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IT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이 만들어낸 원시데이터를 모은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활용해 필요한 정보로 가공 생산하여 수익사업에 활용한다. 이들은 그동안 무료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이용해 왔다는 점에서 개인의 데이터 사용에 대한 대가를 조세의 형태로 징수하여 기본소득의 재원으로 하자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른바 데이터세라고 하는 조세는 원재료라고 할 수 있는 개인의 데이터의 사용대가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이므로 그동안 세계적으로 논의된 다국적 IT 기업에 대한 수익을 과세하는 디지털세제와는 다소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국단위 기본소득 실행과 관련하여 실현 가능한 재원을 확보하는 데 있어 데이터를 사용한 IT 기업들을 대상으로 데이터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 그 타당성과 법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또한 데이터세의 취지와 유사한 각국의 제도를 분석하여 데이터세와 조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 데이테세를 징수하는 방법과 배분방법을 제안하였다. 데이터세의 입법을 위해서는 먼저 국제조세 문제와 관련하여 디지털세제의 보완세로서의 역할과 데이터 사용에 대한 데이터 주권과 연계하여 그 과세논리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데이터 가치(가격)를 합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데, 우선적으로 국가가 가진 공공데이터를 데이터거래소를 통해 거래하고 민간이 가진 각종 데이터의 거래까지 활성화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World economy is becoming digitalized as modern society has undergone the so-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istorically, as the economy develops, better job opportunities are brought out as well. However, the fear of this industrial revolution is that the modern economy will replace large portions of human employment due to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The spread of COVID recently made people avoid contact or work online and thus it increased unemployment and worsened the economy. Meanwhile,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emergency disaster cash supply to all people for overcoming the COVID related economic crisis, as a result basic income is rising as a conversation topic again. The nation has obligations to improve people’s social security, social welfare, economic growth, and the distribution of proper income at the same time. Therefore, subsidizing basic income is naturally able as a necessary measure for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and economic lives. Merely, how can the government secure the source of revenue for basic income is the most fundamental issue deciding the success of basic income now. A nation usually procures necessary resources of revenue through general taxation and the government fund. The use of the government fund has merit to secure funding quickly but it increases the nation’s debt and thus, it should only be used at levels that allow the government to maintain the appropriate level of debt. On other hand, taxation imposes burden to citizens directly, and thus it should be used cautiously. This is exactly the dilemma of securing financing for basic income. If we are able to gain a toehold to secure revenue for basic income without increasing the nation’s debt or shifting burden to people, it would resolve this situation.
    Big Information Technology (IT) companies such as Google, Facebook in global and Kakao, Naver in domestic commerce have grown up under the digit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Gigantic IT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Apple mainly use tax havens to avoid tax and thus many governments have been devoting all their energies to block them by introduction of digital tax system, a so called ‘Google tax’. IT conglomerates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ir products using raw data from personal information and making profit for themselves. They have been using personal raw data at no charge and thus a measure to impose tax for cost using raw data has been proposed recently to make this data a source of funding for basic income. This ‘Data tax’ would allegedly be similar to taxes on raw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t is different from other digital tax systems discussed in the world recently to impose on Global IT conglomerates.
    Consequently, hereinafter I checked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a data tax as a solution for basic income through review legal problems. I proposed devices of data taxa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data taxes based on similar systems and methods in other countries to collect tax and distribute it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무와 회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