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탁 관련 상속세제 및 증여세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the Improvement of Trust-Related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0.08
46P 미리보기
신탁 관련 상속세제 및 증여세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세무와 회계연구 / 9권 / 3호 / 5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전오

    초록

    앞으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개정하여야 한다.
    첫째, 신탁재산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수입수익자가 소득세와 증여세를 이중으로 납부하는 것은 납세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조의2 제3항의 규정에 위배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원칙적인 증여시기를 ‘신탁계약이 효력을 발생하는 날’로 앞당겨야 한다.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신탁이익의 평가 시에 ‘원천징수세액 상당액’이 아니라 ‘소득세 상당액’을 차감하는 것으로 법령을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위탁자가 수익자 변경권을 가지지 않고 수익자 변경권자도 따로 없는 타익신탁은 신탁설정 시에 증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신탁수익권의 증여시기를 수익자가 신탁재산을 수령하는 시점이 아니라 신탁이 효력을 발생하는 시점으로 앞당겨야 한다.
    셋째, ‘원본 수익자와 수입수익자가 같은 경우’에 위탁자가 그 소유의 신탁재산을 수탁자에게 신탁하면서 무상으로 타인을 원본과 수익의 수익자로 지정한 경우에는, 경제적 실질에 비추어 본 증여세의 과세목적상으로는 수익자가 수익자로 지정되거나 수익권을 양도받는 때에 신탁재산(원본)을 증여받은 것으로 하여 수익자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이 옳다.
    넷째, ‘원본 수익자와 수입수익자가 다른 경우’와 관련하여, 존속기간이 확정되지 아니한 신탁의 이익에 대한 평가규정이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익권의 존속기간이 확정되지 아니한 신탁이익의 평가’에 관한 규정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위탁자 자신이 수익자인 자익신탁이나 수익자가 불특정 또는 부존재하는 신탁에서, 위탁자가 배우자나 자녀에게 위탁자의 지위를 무상으로 이전하는 것은 실질상 신탁재산 자체의 증여라고 할 수 있으므로, 위탁자 지위 이전을 통한 실질적인 증여행위에 대하여 과세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여섯째, 수익권자가 증여세 과세의 전제가 된 당초 예정된 수익기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우에는 당초 예정된 수익기간을 채운다는 전제하에 수익자가 납부한 증여세 중 일부를 반환하기 위하여, 증여가액의 재계산에 관한 정산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일곱째, 신탁법 제59조 제1항 제1호의 유언대용신탁과 제2호의 유언대용신탁은 경제적 실질에서 차이가 없는데도 양자를 달리 취급하는 것은 부당하므로, 제2호 신탁의 경우에도 원본수익권을 위탁자가 가진 것으로 보아 위탁자의 사망 시에 상속인들에게 상속세를 부과하도록 상증세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여덟째, 수익자연속신탁에서 위탁자가 사망한 경우에 피상속인이 남긴 상속재산이 되는 것은 신탁재산 그 자체가 아니라 신탁수익권임을 명시하여야 하되, 수입수익권과 원본수익권의 합계액을 상속재산가액으로 보기 위하여서는 수익권의 평가에 관한 여러 가지 미비점 및 문제점을 보완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the following points regarding the trust tax system should be amended.
    First,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income beneficiaries pay double income tax and gift tax for income arising from trust property is unconstitutional and violates the provisions of Article 4-2, Paragraph 3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undamentally, in principle the timing of gift should be accelerated to the “day when the trust contract takes effect.” If that is not possible, the statute should be amended by subtracting “equivalent to income tax” rather than “equivalent to withholding tax” when evaluating trust income.
    Second, with regard to trusts for others in which the settlor does not have the right to change the beneficiary and does not have a person to be able to change the beneficiary, the timing of the gift of the trust beneficial right should be advanced to the time when the trust takes effect, not when the beneficiary receives the trust property.
    Third, when the settlor trusts the trust property owned by the settlor to trustee in ‘when the trust property beneficiary and the income beneficiary are the same’, and when the other person is designated as the beneficiary of the trust property and the beneficiary free of charge, the gift tax must be imposed on the beneficiary, assuming that the trust property has been transferred to the trustee.
    Fourth, with regard to ‘if the trust property beneficiary and the income beneficiary are different’, provisions must be made regarding ‘evaluation of trust profits for which the duration of the beneficiary is not finalized’.
    Fifth, the trustor’s transfer of the trustor’s status to his or her spouse or children free of charge from the trust of the beneficiary himself or the trust where the beneficiary is unspecified or absent is, in reality, the gift of the trust property. Therefore, provisions should be made for the taxation on the actual gift through transfer of the trustor’s status.
    Sixth,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beneficiary may not meet the originally scheduled profit period, which is the premise of taxation of the gift tax. In such cases, it is necessary to settle the rules for recalculating the gift value.
    Seventh,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economic substance between the will substitute trust of Article 59 (1) 1 and 2 of the Trust Act, it is unfair to treat them differently. Considered to have, it should be amended to impose an inheritance tax on the heirs at the time of the settlor’s death even in the case of Article 59 (1) 2 of the Trust Act.
    Eighth, it should be stated that it is not the trust property itself, but the trust income rights that is the inherited property left by the successor when the trustor dies at the Beneficiary Continuity Trust. And in order to view the sum of the trust property income rights as the inherited property value, various shortcomings and problems related to evaluation should be remed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무와 회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