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Globalization and Cultural Hybridity: Postcolonial Geographies of Asian English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9.08
20P 미리보기
Globalization and Cultural Hybridity: Postcolonial Geographies of Asian English Literatur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7권 / 2호 / 7 ~ 26페이지
    · 저자명 : 신두호

    초록

    From the late twentieth century on, postcolonialism has contributed English literature toward broadening the scopes of writers and themes from the long dominant white Anglo-American cultural tradition into non-Euro-American traditions, resulting in multicultural literary tradition. Postcolonial studies attempt to reveal the conventional cultural identities through the remnants of colonial influence and precolonial culture to further develop a viable new cultural identity on the levels of both nations and individuals. The popular metaphor or organizing concept for this complex cultural identity is known as hybridity.
    Hybridized cultural conditions and cosmopolitanism in postcolonial societies have become reinforced and more complicated through the societies' contact or acceptance of global modernity. The postcolonial scholars find examples of this cultural hybridity and cosmopolitan conditions mainly in India or African countries. In a more general sense, Asia has been forgotten territory in postcolonial discourses. Most countries in this area, however, have not only suffered from outside colonial power, but built their national identities in the wake of obtaining independence with distinct cultural hybridity. What distinguishes cultural hybridity of postcolonial Asian countries from postcolonial India and Africa lies in the fact that postcolonial Asian countries have embraced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more forcefully and broadly while they at the same time have reinforced cultural nationalism. In postcolonial Asian societies, the two way campaigns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cultural postcolonial nationalism have led to a dissonant and confusing cultural hybridity of the global and the local over the internal differences and diversity within a society.
    It is the global-national, or global-local hybridity and its resultant internal conflicts and problems that postcolonial Asian English writers have paid attention to. Such conflicts and problems are conspicuous especially on the parts of oppressed groups within postcolonial societies who have been neglected or ignored under the colonial rules and subsequent postcolonial state campaigns of both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Postcolonial Singapore and the Philippines offer good examples of a contested territory of such cultural hybridity generated and developed through interplay of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and Catherine Lim from Singapore and Sionil Jose from Philippines demonstrate such hybridity in their fiction. As a conclusion, this study contemplates on how and why the subject of Asian cultural hybridity is also noteworthy in literary studi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