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신종교의 삼성제군(三聖帝君) 역할-금강대도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for the Role of “Sam Sung Je Kun”(三聖帝君) of Korean New Religions -Focused on “Keum Kang Dae Do” (金剛大道)-)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3.10
24P 미리보기
한국 신종교의 삼성제군(三聖帝君) 역할-금강대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29권 / 29호 / 193 ~ 216페이지
    · 저자명 : 이상환

    초록

    본 논고는 한국신종교에서의 삼성제군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삼성제군이 종교적, 도덕적으로 현재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 왔으며, 앞으로우리의 삶에 어떠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인간의 운명은 태어날 때부터 하늘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인가? 아니면 타고난 운명을 자신의후천적인 노력 즉, 올바른 가치관에 의한 정당한 행동과 성실한 생활에 의해 바꿀수 있는가? 이는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음직한 문제이다.
    오늘날 우리는 전통과 현대 사이의 시대적 갈등에 대한 격차를 극복하고 현재 우리의 삶에 적합한 도덕적 가치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대인의 도덕의식을 정확히 진단하여 현재와 미래에 꼭 필요한 가치관의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도덕적 가치체계 정립을 위한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이론과 방법론 역시 필수적이다.
    단순히 과거의 전통적 사상을 무시한 채 단편적인 방법론에 근거한 근시안적인대안이 아니라 한국인의 윤리적 정체성을 본질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과거와 단절된 현재와 미래는 없기 때문에 현재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거의전통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우리의 삶에서 예로부터 진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선악에 따라 화복이 정해진다는 사실(선하게 사는 것이 복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삼성제군(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은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인간의 선악 행동에 대해 가르침을 주고 올바른 심성함양의 길을 제시해 왔다.
    관성제군은 충의(忠義)를 상징하는 신으로 재신(財神), 무신(武神)으로 불리어져 왔고, 문창제군은 재동(梓潼)제군으로도 불리우고 학문의 신, 수험의 신이었으며, 부우제군은 순양진인(純陽眞人)으로 불리었으며 신보다도 신선으로서 사람들과친숙해져 있는 인기있는 신이기도 하다.
    사람들에게 선ㆍ악 행동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여 가르쳤고, 이로 인하여 민중들이 도덕적 가치체계를 세우는데 지대한 영향을 준 삼성제군의 공과 능력으로 인하여, 한국 신종교인 금강대도에서 삼계복마대제원진천존관성제군(三界伏魔大帝遠鎭天尊關聖帝君), 구천보원개화주재칠곡영응문창제군(九天輔元開化主宰七曲靈應文昌帝君), 옥청내상금궐선선순양조사부우제군(玉淸內相金闕選仙純陽祖師孚佑帝君)이 되어 충ㆍ효ㆍ성경의 덕목을 상징하는 신명으로 각각 내세워졌다.
    본 논고를 통해서 삼성제군의 역사적 인물분석과 민중의 심성함양에 끼친 영향에대해 알아보았고,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날까지도 삼성제군의 역할은 한국 신종교인금강대도를 통하여 도덕적인 가치를 재정립하고 전통적인 사상과 현대적 양식의 결합에 의한 올바른 가치 및 행동양식을 형성하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있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the role of “Sam Sung Je Kun”(三聖帝君) in the area of Korean new religion and to find out how “Sam Sung Je Kun” (三聖帝君) has affected us to live in religious and moral ways and what kind of plans “Sam Sung Je Kun” (三聖帝君) can provide us with to have a better life in the future.
    Is people’s fate already designated by God when they’re born? Or is it possible for us to change our fate by making an effort on doing a right thing based on a right concept of moral value? These are quite common questions for us.
    These days, we need to overcome the gab between our tradition and the modern life, and to establish a new moral value system which would fit for us, now. Assessing and evaluating our awareness of morality would come before making a decision on choosing a proper conception of value which is necessary now and in the future.
    Objective and generally understandable theories and methods are also required for it.
    We need to verify the identity of Korean morality rather than to focus on nearsighted plans along with fragmental methods. Since the present and the future must be related to the past somehow, we need to conduct studying about both our traditional morality in the past and issues occurred in the present, simultaneously.
    Most people agree with that doing good will bring us good luck.
    According to “Ju yeok” (周易), there is a saying, “If a family keeps doing good, there would be a happy event for them. On the other hand, if a family keeps doing bad, there would be a disaster in their family.
    Also, a book named “Sun Seo” (善書) shows that do good quickly, give up bad quickly.
    In the same context, “Sam Sung Je Kun” (三聖帝君) has taught us how we practice good in life and guided us to the right direction of improving morality.
    Through this study, I could analyze historical persons in “Sam Sung Je Kun” (三聖帝君), and could find out how the religion has developed and has affected to the public. I believe that this study could help us to rebuild up our moral value system and to come up with a proper way to combine our traditional conception and a modern way of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