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의 노동과 영화적 자연풍경의 미학적 의미: 로버트 플레허티 『아란의 사람』, 신도 가네토 『벗겨진 섬』, 테렌스 맬릭 『천국의 나날들』을 중심으로 (Human labour and the Aesthetics of Cinematic Landscape: Focused on Robert Flaherty’s Man of Aran, Kaneto Shindo’s Naked Island, Terrence Malick’s Days of Heave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08
21P 미리보기
인간의 노동과 영화적 자연풍경의 미학적 의미: 로버트 플레허티 『아란의 사람』, 신도 가네토 『벗겨진 섬』, 테렌스 맬릭 『천국의 나날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 21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 21 / 7권 / 4호 / 953 ~ 973페이지
    · 저자명 : 이익주

    초록

    본 연구는 노동의 문제를 통해 자연 풍경이 어떻게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지 영화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분석이다. 자연풍경은 단지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노동이 자연풍경과 결부되어 질 때, 자연풍경의 문제는 정치적인 담론의 경향성을 띄게 된다. 자연에서 일하는 노동자에게 자연풍경은 찾기 어렵다. 왜냐하면, 적당한 거리에서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지배계급에 비해, 그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 노동자 계급에게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조건은 박탈되어 지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미학은 감성학 으로서, 예술작품을 통해 세계에 대한 감각적인 것을 모든 계층에 돌려줄 수 있는 사회적 나눔이라는 정치의 문제로서 등장한다. 이런 면에서, 노동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영화 예술 안에서 자연풍경을 노동과 함께 연관 지어 미학적으로 사유할 때 노동과 자연풍경의 의미는 새로운 차원의 감각을 우리에게 부여한다. 자연풍경안에서 인간의 노동을 보여주는 로버트 플레허티(Robert Flaherty)의 『아란의 사람』(Man of Aran, 1934), 신도 가네토(新藤兼人)의 『벗겨진 섬』(裸の島, 1960), 테렌스 맬릭의 『천국의 나날들』(Days of Heaven, 1976)은 단지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노동의 재현이 아니라 인간의 노동에서 대해서 미학의 정치를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끈다. 특히, 신도 가네토의 영화는 노동자의 침묵 속에서 인간의 노동의 문제를 청각적 풍경까지 연결시키면서, 몫 없는 자로서의 노동자의 말이 어떻게 드러날 것인지 까지 사유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how meaning of landscape can be redefined in connection with problem of labour in cinematic images. Landscape does not just concern the beauty of Nature. Particularly, if landscape is related to human labour, it becomes problem of political discourse. It is not easy to find landscape for a labourer who has to work in nature. Compared with the governing classes who can enjoy landscape within moderate distance from nature, the working class is deprived of the condition of enjoyment about landscape because of the absence of its distance. According to Rancière, aesthetics is about problem of sense and it appears as a problem of politics which is that of social distribution in order to give the sensible back to all classes through works of art. In this way, when we aesthetically consider the films of human labour within landscape, they give us a new sense of landscape and human labour. 『Man of Aran』(1934) of Robert Flaherty, 『Naked Island』(1960) of Shindo Kaneto, 『Days of Heaven』(1976) of Terrence Malick give a new perspective of human labour as politics of aesthetics. Especially, the film of Shindo Kaneto is concerned how to express in their silence in the face of ‘auditive landscape’ of Nature the word of labourers who are those without a sh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 2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