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에 나타난 육지와 섬 사이의 지정학(地政學) -혐오, 자각, 저항을 중심으로- (The Geopolitics between Mainland and Island in Kim Sok-bom’s epic Novel “Volcano Island” -Focusing on Hatred, Awakening, and Resista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10
32P 미리보기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에 나타난 육지와 섬 사이의 지정학(地政學) -혐오, 자각, 저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4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권성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섬과 육지의 역학관계라는 맥락에서 김석범 작가의 대하소설 『화산도』에 나타난 혐오, 편견, 저항, 정체성의 은폐와 자각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그 과정은 곧 『화산도』의 배경이 제주라는 점에 주목해 본토인과 섬 주민의 갈등을 통해 『화산도』를 새롭게 독해하고자 하는 시도와 통한다. 『화산도』에는 본토인과 섬 주민 간의 상호 배척과 경멸, 섬 주민의 저항이 생생하게 묘사돼 있다.
    『화산도』에서 다뤄진 제주 4ㆍ3은 단지 이념적인 요인으로 충분히 포착할 수 없는 다층적 맥락을 지니고 있다. 이 커다란 역사적 비극은 무엇보다 본토(육지)와 섬의 갈등이라는 차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화산도』에서 제주 4ㆍ3을 진압하기 위해 섬에 온 토벌대나 서북청년단은 제주도민을 같은 인간으로 보지 않는다. 그들은 제주인들을 혐오와 경멸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런 태도가 가공할 학살을 낳는다. 한편 전통적으로 제주인들은 육지에서 온 외지인들을 ‘육짓것’이라는 용어로 배척하고 증오했다.
    이 작품에서 제주인에 대한 혐오를 대하는 제주인의 모습은 제주인이라는 정체성의 부정과 주체적인 저항의 모색이라는 두 가지 태도로 나뉜다. 끝까지 제주에 남은 이방근은 제주인의 자존심과 주체성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지금 이 시대의 갈등과 대립의 문학적 기원을 포착한 작품 『화산도』는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atred, prejudice, concealment and awakening of identity, and resistance depicted in Kim Sok-bom’s epic novel, “Volcanic Island,” in the context of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slands and the mainland. This to reinterpret “Volcanic Island” by focusing on its setting being Jeju and exploring the conflict between mainlanders and islanders. “Volcanic Island” vividly portrays the mutual rejection and contempt between mainlanders and islanders and the islanders’ resistance.
    The Jeju 4.3 Incident, which is dealt with in “Volcanic Island,” has a multi-layered context that cannot be fully captured by ideological factors alone. This great historical tragedy must be interpreted primarily in term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mainland and island.
    In “Volcanic Island,” the punitive forces and Northwest Youth Association, who come to the island to suppress the Jeju 4.3 Incident, do not view the Jeju residents as fellow humans. They perceive the Jeju people with contempt and disgust. This attitude leads to horrific massacres. The Jeju people, in turn, traditionally reject and hate outsiders from the mainland, referring to them as “Landlubber.” In “Volcanic Island,” the Jeju people’s response to the hatred towards them is divided into two attitudes: denial of their identity as Jeju islanders and search for an autonomous resistance. Lee Bang-geun, who remains in Jeju until the end, symbolizes the pride and subjectivity of the Jeju people.
    “Volcanic Island,”which captures the literary origins of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f our time, should be continuously reinterpre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