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민으로 본 제주 섬의 사회경제 변화- 접경지역 도서의 상생 경제발전과 평화 정착 개념을 중심으로 - (Socioeconomic Changes in Jeju Island as Seen Through Refuge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02
26P 미리보기
난민으로 본 제주 섬의 사회경제 변화- 접경지역 도서의 상생 경제발전과 평화 정착 개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61권 / 51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치완

    초록

    우리 역사에서 제주는 오래도록 소외된 접경지역(alienated boderlands)으로 내버려져 있었다.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지향하는 새로운 왕조가 들어선 후 자치권이 회수되었지만, 이중수탈 등의 문제로 도민이 육지나 부속 도서로 도망하는 역설적인 일도 잦았다. 이렇게 볼 때 2018년 예멘 난민 문제가 불거지기 전 제주 섬은 우리 사회 내부에서 발생한 난민 문제를 이미 겪고 있었다. 1990년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신자유주의가 우리 사회 체제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난민’이 제주 섬으로 이주해온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 섬의 사회졍제적 변화를 난민이 추동해왔다는 전제 아래, 접경지역 도서의 상생 경제발전과 평화 정책 개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접경도서이며, 육지와 상생 경제발전을 요구해온 오래된 역사를 가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아직 제 이름을 가지지 못한 제주 4․3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평화’라는 기표가 주어져 있기도 하다. 이렇게 제주는 본토로부터 지원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국제적 관심을 끌만한 지정학적, 역사적 토대를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근대국민/민족국가 출범 이후로 본토와의 관계 또는 지원 없이 지속 가능한 경제는 사실상 불가능할 뿐 아니라, 본토의 일방적인 정책 접근이 기대한 결과로 귀결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접경지대 도서에 대한 경제적 지원 정책과 평화 정착 정책은 역사적 맥락에 기초한 실효성 있는 지원과 합의가 우선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rough out our history, Jeju has long been neglected as an alienated borderland. The paradoxical occurrence of residents fleeing to the mainland or affiliated islands,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new dynasty advocating a strong centralized regime that reclaimed autonomy, was attributed to issues such as double exploitation. In this context, before the emergence of the 2018 Yemeni refugee crisis, Jeju Island had already experienced the refugee issue within our society. The influx of “refugees” to Jeju during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our social system by neoliberalism following the 1990s financial crisis can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refugee issue and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Jeju Island, focusing on the themes of border islands, mutual economic development, and peaceful settlement. Jeju, being the oldest border island in our country, holds a rich history of mutual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mainland. Additionally, the unresolved Jeju 4.3 incident i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Peace” as a potential solution. Despite facing a situation where Jeju lacks support from the mainland, it paradoxically possesses geopolitical and historical foundations that attract international attention. However, sustaining an economy without mainland support or relations is practically impossible, and unilateral policy approaches from the mainland do not yield the expected outcomes. Consequently, economic support policies for border islands and peace settlement policies should prioritize effective support and agreements based on historical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