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빈 신후담의 자득과 성호 성리설의 비판적 계승 - 사단칠정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 - (Harbin Sinhudam's Self-Acquirement and Critical Succession to the Theory of nature and principle of Seongho - Focusing on Theory of Four-Seven and Theory of Nature of Men and All Things Non-Human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6
43P 미리보기
하빈 신후담의 자득과 성호 성리설의 비판적 계승 - 사단칠정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43호 / 305 ~ 347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 1702∼1761)은 투철한 懷疑와 自得의 자세로 유교 경전을 기존과 다르게 해석했다. 특히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의 理氣四七설을 수용하여 자신의 논리 하에 정교하게 다듬어갔는데, 그 성과가 『사칠동이변』에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빈은 이 책을 저술한 그해 여름에 당시의 正說과 다른 의견을 제시하여 구설에 올랐고, 사후에도 정론에서 벗어나 리기설과 경전을 자의로 해석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하빈의 해석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그가 기존과 다른 해석을 제시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 글에서는 하빈이 피력한 이질적인 리기사칠설이 성호설을 세밀하게 보완하여 산출된 이론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문 2장에서는 하빈이 『사칠신편』을 입수한 경위를 간략히 제시하고, 그가 『사칠동이변』에서 성호에게 제기한 세 가지 이견을 소개했다. 그리고 3장에서 5장까지는 그가 성호설과 해석을 달리한 쟁점 셋을 차례로 점검했다. 3장에서는 사단과 칠정의 성을 별개로 구분한 하빈의 주장을 소개하고 그 이론적 토대를 밝혔다. 4장에서는 앞 장에서 밝힌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그가 인간성과 동물성을 구분한 논리를 보여주었다. 마지막 5장에서는 사단과 칠정이 서로 다른 성의 발현이라는 하빈의 주장을 기초로 그의 공칠정설을 검토했다.
    성호가 자득과 회의의 정신을 중시하면서도 주자설과 퇴계설의 보전이라는 학파적 과제에 주안점을 두어 해석에 신중히 한계선을 그었다면, 하빈은 자득과 회의를 동력으로 삼아 자유로운 경전 해석과 학술 발전에 중점을 두고 그 선을 넘어서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이러한 학문 태도는 정산(貞山) 이병휴(李秉休, 1710∼1776)의 지지를 받았고 정산을 추종하던 문인들에게도 이어졌다. 이들 사이에 서학의 적극적 수용과 과감한 경전 해석이 나타나며 성리학의 지식체계를 뒤흔들게 된 것도, 성호조차 우려할만한 학술 분위기가 조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짐작된다.

    영어초록

    Shin Hudam(愼後聃, 1702-1761) interpreted Confucian canons differently from the past with a thorough the attitude of suspicions and self-acquirement. In particular, he accepted Li Ik(李瀷, 1681-1763)’s theory of li and qi and theory of four-seven and elaborated them under his own logic, the results are clearly revealed in his Sachildongibyeon(四七同異辯).
    In the summer of the year when Habin wrote this, he put forward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stablished theories, so even after he died, he was evaluated as “a person who voluntarily interpreted the theories and the canons.” However, negative looks at Habin's interpretation disproves that he offered different interpretations.
    When Seongho emphasizes the spirit of suspicion and self-acquirement, but focuses on the school of thought of the conservation of Toegye Theory and Zhuxi Theory, and draws a limit to the interpretation, Habin seems to have tried to cross the line by focusing on free interpretation of canons and academic development, using suspicion and self-acquirement as the driving force.
    His scholarly attitude was supported by Lee Byeong-hue and followed by the literaries who followed him. It is speculated that it was possible that the unprecedented interpretation of the canons emerged among them and shook arguments of Seongnihak(性理學) because a free academic atmosphere was created within the school, which even Seongho was concerned ab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